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의 현대적 이해)

품절

기본 정보
정가 14,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이중표/종이거울
적립금 6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81
발행일 2012-02-25
ISBN 9788990562401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불교란 무엇인가 (불교의 현대적 이해)
정가 14,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이중표/종이거울
적립금 6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81
발행일 2012-02-25
ISBN 9788990562401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불교는 석가모니부처님의 가르침이다. 즉 2500년 전에 석가모니 부처님이 가르친 근본불교를 의미한다. 이중표 교수는 근본불교가 아비달마불교에 의해 크게 왜곡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왜곡은 정견을 상실한 가운데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아비달마불교의 사견(邪見)을 시정하고 정견(正見)을 드러내기 위해 출현한 것이 중관사상이라고 보고, 중관사상의 관점에서 근본불교를 이해한다. 이 책은 이러한 이해에 바탕을 두고 현대적인 의미로 근본불교를 해석한 것이다.

이 책은 불교를 전공하는 학자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불교를 바르게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불교를 단순히 지적으로 이해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삶 속에서 실천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것이다. 그래서 이 책은 삼귀의에서 시작하여 사홍서원에서 끝난다.


저자소개

이중표
저자 이중표는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석 ·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불교학/철학박사).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불교학회 이사와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엮임했다. 저서로는『아함의 중도체계』,『근본불교』외 여러 책이 있으며, 공저로『철학연구 50년』, 역서로『불교와 일반시스템 이론』이 있다.


목차

제1장 삼귀의
1. 삼귀의(三歸依)는 왜 하는가?
2. 불보(佛寶)란 어떤 것인가?
3. 법보(法寶)란 어떤 것인가?
4. 승보(僧寶)란 어떤 것인가?
5. 염불(念佛)은 왜 하는가?

제2장 부처님 당시의 인도사회
1. 부처님 당시의 인도사회는 어떠했는가?
2. 부처님 당시의 종교와 사상은 어떠했는가?
3. 불교와 자이나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제3장 정견正見
1. 부처님은 왜 침묵했는가? - 무기(無記)
2. 사견(邪見)을 없애는 방법은 무엇인가?
3. 사견(邪見)에서 정견(正見)으로
4. 부처님은 도덕을 실천한 윤리교사인가?

제4장 중도와 연기
1. 고행과 쾌락의 중간이 중도인가? - 고락중도(苦樂中道)
2.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모두 버려라 - 단상중도(斷常中道)
3. 영혼과 육체는 동일한가, 다른가? - 일이중도(一異中道)
4. 있느냐, 없느냐 - 무유중도(有無中道)

제5장 사성제와 십이연기
1. 사성제(四聖諦)란 무엇인가?
2. 고성제의 실존철학적 의미 - 고성제(苦聖諦)
3. 실존의 원인 - 집성제(集聖諦)
4..불교수행의 목표 - 멸성제(滅聖諦)
5. 열반에 이르는 길 - 도성제(道聖諦)

제6장 열반과 해탈
1. 열반이란 어떤 것인가?
2. 무아(無我)란 어떤 것인가?
3. 열반을 성취하면 죽은 후에 다시 태어나지 않게 되는가?
4. 해탈이란 어떤 것인가?
5. 구차제정(九次第定)과 해탈

제7장 육바라밀
1. 무소득(無所得)의 삶 - 보살의 길
2. 한 생명으로사는 삶 - 보시바라밀
3. 화합과 공존의 삶 - 지계바라밀
4. 자비원력(慈悲原力)의 삶 - 인욕바라밀
5. 중생교화의 삶 - 정진바라밀
6. 세간(世間)을 벗어나는 삶 - 선정바라밀
7. 끝없는 진리의 실현 - 반야바라밀

제8장 사홍서원
1. 원력(原力)으로 살아가는 무아(無我)의 삶
2. 무엇이 될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 욕탐(欲貪)과 원(願)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