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태고화상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품절

기본 정보
판매가 절판
저자/출판사 보우/조명제/지식을만드는지식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135
발행일 2011-12-27
ISBN 9788966802173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태고화상어록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판매가 절판
저자/출판사 보우/조명제/지식을만드는지식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135
발행일 2011-12-27
ISBN 9788966802173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고려 말의 선승인 태고보우의 법어와 가송을 엮은 『태고화상어록』. <태고화상어록>의 상당, 시중, 법어, 가음명 중에서 고려 말 불교사의 흐름과 태고의 간화선 수행론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주는 글을 발췌하여 번역한 책이다. 고려 말 불교사의 흐름과 관련하여 태고가 제기한 간화선 수행론의 특징이 무엇이며, 그 주된 대상이 누구인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저자소개

보우

저자 보우(普愚, 1520~1604)는 고려 말의 대표적인 선승이며, 태고는 호이고, 법명이 보우다. 그는 출가 이후 일관되게 간화선 수행법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고, 간화선을 절대시해 이후 불교계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특별한 스승이 없이 화두 수행을 통해 깨달음을 얻었고, 46세에 중국으로 가서 선지식을 두루 찾았다. 그가 원에 간 것은 중국 임제종의 법통을 계승하고자 한 것으로 결국 석옥청공에게 인가를 받고 귀국했다. 이후 그는 백운암, 태고암 등에 머물렀고, 공민왕에 의해 왕사에 책봉되어 원융부를 통해 교권을 장악했다. 이후 신돈이 등장하면서 속리산에 유폐되는 등 고난을 겪기도 했다. 조선 후기에 태고법통설이 제기된 이후 지금까지 한국 선불교의 정통 선사로서 추앙되고 있으나 1960년대 조계종이 성립되면서 지눌법통설이 제기되어 논쟁이 거듭되고 있다.


목차

해설·······················9
지은이에 대해··················18

서문······················21
발문······················23

상당(上堂)···················25
1. 영녕선사(永寧禪寺)에서 한 설법·······27
2. 봉은선사(奉恩禪寺)에서 한 설법·······39
3. 지정 17년 정유 정월 15일 왕궁의 진병(鎭兵)을 위한 설법···········49
4. 다시 삼각산 중흥선사(重興禪寺)에 주지로 들어가면서 한 설법··········55
5. 희양산 봉암선사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56
6. 가지산 보림선사(寶林禪寺)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57
7. 자씨산 영원선사에 주지로 취임하면서 한 설법·59
8. 상당···················60

시중······················61

법어······················67
1. 공민왕이 마음 법문을 청하다········69
2. 방산거사(方山居士) 제학(提學) 오수(吳?)에게 답하다··············74
3. 무제거사(無際居士) 장해원사(張海院使)에게 주는 글···············78
4. 최 진사에게 주는 글············80
5. 사제거사(思齊居士)에게 주는 글······81
6. 정당(政堂) 염흥방(廉興邦)에게 주는 글···83
7. 낙암거사(樂庵居士)에게 염불의 요점에 대해 주는 글···············85
8. 백충거사(白忠居士)에게 주는 글·······87
9. 무능거사(無能居士) 박성량(朴成亮) 상공(相公)에게 주는 글···········88
10. 당선인(當禪人)에게 주는 글········89
11. 진선인(眞禪人)에게 주는 글········91
12. 의선인(宜禪人)에게 주는 글········93
13. 담당(湛堂) 숙장로(淑長老)에게 답함····95
14. 문선인(文禪人)에게 주는 글········98
15. 소선인(紹禪人)에게 주는 글········99
16. 가선인(可禪人)에게 주는 글········101
17. 상선인(祥禪人)에게 주는 글········102
18. 안산군(安山郡) 묘당부인(妙幢夫人)에게 주는 글················103

가음명(歌吟銘)·················105
1. 태고암가(太古庵歌)············107
2. 잡화삼매가(雜華三昧歌)··········114

부록: 원증국사탑명···············119

옮긴이에 대해··················135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