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장자 내편 역해소

기본 정보
판매가 25,000원
저자/출판사 김정탁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적립금 1,25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48
발행일 2018-07-31
ISBN 9791155502860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장자 내편 역해소
판매가 25,000원
저자/출판사 김정탁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적립금 1,25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48
발행일 2018-07-31
ISBN 9791155502860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한 저자가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한 『장자』내편
이 책을 통해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소통의 사상가를 만난다!
동아시아 고전을 제대로 해석하려면 역·주·해·소·논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역(譯)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번역이다. 그런데 동아시아 고전은 번역만으로는 내용 파악이 쉽지 않기 때문에 모내기를 할 때 물을 주듯 번역한 글에도 물을 대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글이 살아나는데 이것이 주(注)다. 해(解)는 해석을 뜻한다. 역과 주를 통한 글이라도 여전히 거칠거나 딱딱하므로 해석이 이루어져야 글의 의미를 제대로 깨달을 수 있는데 이것이 해(解)다. 그렇더라도 이 내용이 오늘날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밝혀야 하는데 이것이 통한다는 의미를 지니는 소(疏)이다. 마지막으로 이 내용에 대한 비판도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이 논(論)이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동아시아 고전의 내용이 제대로 밝혀진다.

장자가 직접 쓴 글로 여겨져 장자사상을 이해하는 데 반드시 읽어야 할 내용이 『장자』의 내편이다. 이 책은 장자의 「내편」을 재해석한 것으로, 「내편」은 [소요유(逍遙遊)],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인간세(人間世)], [덕충부(德充符)], [대종사(大宗師)], [응제왕(應帝王)]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요유]는 「내편」의 총론에, [제물론]은 이론적 틀에 그리고 [양생주], [인간세], [덕충부], [대종사], [응제왕]은 각론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저자가 보기에 『장자』의 텍스트는 다른 어떤 제자백가의 것보다 짜임새가 있고,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핵심에 이르기까지는 역(譯)·주(注)·해(解)·소(疏)·논(論)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장자』를 재해석했고, 이 책에선 내편 역·해·소를 수록했다.



저자소개


저자 : 김정탁

저자 김정탁 (金正鐸)
지리산 경상도 쪽 언저리 산청군 생초면이 그의 고향이다. 이곳엔 경북 영양의 주실마을, 전북 임실의 삼계면과 더불어 남한의 삼대 문필봉(文筆峰)이 있다. 고향의 이런 정기를 이어받은 탓인지 대학에선 신문방송학을 전공하고, 졸업해선 신문사를 첫 직장으로 택했다. 기자로서 3년여를 보내고서 미국으로 공부하러 떠났다. 미주리대에서 언론학으로 석사와 박사를 받은 뒤 1985년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에 교수로 부임해 지금까지 재직해 오고 있다. 『禮와 藝: 한국인의 의사소통 사상을 찾아서』, 『노장·공맹 그리고 맥루한까지』, 『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 『소통의 사상가 장자』 등의 책을 펴냈다.




목차

  • 『장자』를 읽는 독자에게 보내는 저자의 편지
    머리말
    『장자』에 들어가기에 앞서-노자와의 만남을 위해

    소요유 逍遙遊
    소요유 1
    1-1 대붕의 비상-황(黃)의 관점에서 현(玄)의 관점으로
    1-2 하늘이 푸른 건 본래의 빛깔인가? 아니면 너무 멀어서 끝이 어서인가?
    소요유 2
    2-1 큰 앎(大知)과 작은 앎(小知)
    2-2 큰 것과 작은 것의 차이
    2-3 지인은 무기(無己), 신인은 무공(無功), 성인은 무명(無名)의 존재이다
    소요유 3
    3-1 명성을 바라지 않는 성인(聖人) 허유(許由)
    3-2 공(功)을 바라지 않는 고야산의 신인(神人)
    소요유 4
    4-1 자기란 의식이 없이 송나라를 지나던 나그네란 지인(至人)
    4-2 장자의 무용지용(無用之用)과 혜시의 유용지용(有用之用)

    제물론 齊物論
    제물론 1 오상아(吾喪我)?내가 나를 잃어버리다··
    제물론 2
    2-1 큰 앎(大知)과 작은 앎(小知), 큰 말(大言)과 작은 말(小言)
    2-2 희로애락(喜怒哀樂)의 감정, 여탄변집(慮嘆變?)의 생각, 요일계태(姚佚啓態)의 행동
    2-3 마음의 참 주재자인 진재(眞宰)와 몸의 참 지배자인 진군(眞君)
    제물론 3
    3-1 성심(成心)을 자신의 스승으로 삼지 말아야
    3-2 도는 작은 이룸(小成)에 가리어지고, 말은 화려한 언변(榮華)에 가리어진다
    3-3 환중(環中)을 유지함으로써 무궁한 변화에 대응한다
    제물론 4
    4-1 천지는 하나의 손가락이고, 만물은 하나의 말이다
    4-2 물고유소연(物固有所然), 즉 사물의 이름은 본디 그런 바 있다
    4-3 조삼모사든 조사모삼이든 생각만 다를 뿐 틀리지 않다
    4-4 큰 쓰임새란 인위적인 노련함보다 무위자연적인 순수함으로
    제물론 5
    5-1 처음이 있으면 그 전 처음이 있고, 그러면 그 처음이 있기 전 처음이 있다
    5-2 희언자연(希言自然), 즉 말을 되도록 안 하는 자연스러움만이 소통의 길을 연다
    5-3 도(道)를 말로 구분하면 도에 대해 보지 못하는 바 있다
    5-4 도(道)·변(辯)·인(仁)·염(廉)·용(勇)은 모나지 않고 둥글다
    제물론 6
    6-1 올바른 거처(正處)·올바른 맛(正味)·올바른 용모(正色)
    6-2 인위(人爲)에 따른 성인관과 무위(無爲)에 따른 성인관
    6-3 우리의 삶은 ‘눈을 뜨고 꾸는 꿈’일 뿐이다
    6-4 천예(天倪)로 조화를 이루고 만연(曼衍)에 맡기다
    제물론 7
    7-1 짙은 그림자 경(景)과 옅은 그림자 망량(罔兩) 간의 논쟁
    7-2 호랑나비의 꿈(胡蝶夢)·

    양생주 養生主
    양생주 1 순리에 따라 이루어진 중앙의 자연스런 균형을 원칙으로 삼다(緣督以爲經)
    양생주 2 포정의 해우(解牛), 즉 소 잡는 법
    양생주 3
    3-1 인간에 의한 형벌(人刑)과 하늘에 의한 형벌(天刑)
    3-2 제지현해(帝之懸解)-거꾸로 매달려 있는 하늘의 속박에서 풀려남

    인간세 人間世
    인간세 1
    1-1 덕(德)은 명성을 드러내는 데서 무너지고, 지식(知)은 다툼 가운데서 생겨난다
    1-2 자기 생각에만 얽매인 성심(成心)의 소유자
    1-3 몸의 재(身齋)가 아니라 마음의 재(心齋)
    인간세 2
    2-1 하늘의 뜻(命)과 인간으로서의 도리(義)라는 두 개의 계율
    2-2 승물이유심(乘物以遊心)-사물의 자연스런 흐름에 따라 마음이 유유히 노닐다
    인간세 3 수레바퀴 앞에 팔을 치켜든 사마귀(螳螂拒轍)
    인간세 4
    4-1 유용지용(有用之用)과 무용지용(無用之用)
    4-2 신인(神人)은 이래서 재목감이 되지 못한다
    인간세 5 신체불구자인 지리소(支離疏)와 덕(德) 불구자인 접여(接輿)

    덕충부 德充符
    덕충부 1 무위로서 제자를 모으는 왕태(王?)와 유위로서 제자를 모으는 공자
    덕충부 2 몸이 온전한 건 예(?)가 쏜 화살에 맞지 않아서이고, 병신이 된 건 예가 쏜 화살에 맞아서이다
    덕충부 3 기이하고 괴상한 명성을 듣길 바라는 공구(孔丘)는 하늘이 내린 형벌을 받은 사람이다
    덕충부 4
    4-1 추하지만 덕(德)이 넘치는 애태타(哀??)
    4-2 재전(才全)과 덕불형(德不形)
    덕충부 5 자연의 죽을 먹는 성인은 사람 형태를 지녀도 표정을 드러내지 않는다
    덕충부 6 성인에겐 형태는 있어도 모습(情)은 없다

    대종사 大宗師
    대종사 1
    1-1 대종사는 자연의 원리에 따라 인간세상의 이치를 파악하는 사람이다
    1-2 옛날의 진인(眞人)에게서 대종사의 모습을 찾을 수 있다
    1-3 진인(眞人)의 마음을 지니고 세상을 다스리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다
    대종사 2 죽고 사는 건 하늘의 뜻이고, 밤낮으로 바뀌는 일상은 자연의 원리이다
    대종사 3 인식론적·커뮤니케이션적·형이상학적·도덕적 차원에서 본 도의 모습
    대종사 4 조철(朝徹)과 견독(見獨)에서 영녕(?寧)에 이르러야 도를 깨닫는다
    대종사 5
    5-1 왼팔을 차츰차츰 변화시켜 암탉으로 만들면 이로써 새벽을 알리다
    5-2 ‘사람으로 남을 거야’라고 우기면 조물주는 상서롭지 못한 사람이라고 여긴다
    대종사 6 자연의 소인은 보통사람에겐 군자이고, 자연의 군자는 보통사람에겐 소인이다
    대종사 7 눈물·슬픔·애달픔이 빠져도 부모상(喪)을 잘 치른 맹손재
    대종사 8 인의(仁義)란 이름의 경형, 시비(是非)란 이름의 의형
    대종사 9 몸은 떠나가고 지각작용이 멈춘 좌망(坐忘)
    대종사 10 모든 건 하늘의 뜻(命)이다

    응제왕 應帝王
    응제왕 1 복희씨는 어떤 때는 자기를 말(馬)로, 또 어떤 때는 소(牛)로 여긴다
    응제왕 2 군주가 모범을 보이고, 법도에 따라 일을 처리하면 덕을 속이는 일이다
    응제왕 3 무명인(無名人)의 무위지치(無爲之治)
    응제왕 4 무용지용(無用之用)에 따른 명왕(明王)의 다스림
    응제왕 5 신인(神人) 호자(壺子)에게 호되게 당한 신무(神巫) 계함(季咸)
    응제왕 6 명성과 모략으로 점철된 계함(季咸)과 순박한 상태로 되돌아간 열자(列子)
    응제왕 7 혼돈(混沌)의 죽음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