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규봉종밀과 법성교학

기본 정보
정가 32,000원
판매가 28,800원
저자/출판사 신규탁/올리브그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743
발행일 2013-09-01
ISBN 9788998938031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규봉종밀과 법성교학
정가 32,000원
판매가 28,800원
저자/출판사 신규탁/올리브그린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743
발행일 2013-09-01
ISBN 9788998938031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불교 ‘연구’를 넘어, 불교 ‘하기’를 담은, 실천적 불교철학서. ‘법성’이라는 개념을 ‘들어내 보인’ 저자는 그 개념을 자신의 철학 체계 속에서 재해석하고, 그것으로 중국 화엄사상·선불교·정토사상을 비판적으로 새롭게 구성한다. 또한 인간의 다양한 사유 활동을 현재적 시점에서 정리해내고 있다. 그는 이 과정에서 당나라의 화엄학승이자 동시에 선종사 연구자인 규봉 종밀(780-841)의 철학을 기본 골자로 삼고 있다.


저자소개

신규탁

이천 출생. 월운 강백의 화연으로 성종 내 교학에 뜻을 둠. 1994년 도쿄대학 중국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연세대 철학과 교수 부임. 화엄, 선, 중국철학사 담당. 저서에 『선학사전』, 『선사들이 가려는 세상』, 『때 묻은 옷을 걸치며』, 『한국 근현대 불교사상 탐색』, 역서에 『선과 문학』, 『벽암록』, 『원각경』, 『화엄과 선』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 새로운 연구 시각의 모색
제1장 중국 불교 연구와 그 반성
Ⅰ. 불교 연구의 반성 / Ⅱ. 동아시아론 / Ⅲ. 지적(知的) 제국주의 / Ⅳ. 동북아시아의 불교 연구와 반성 / Ⅴ. 문제점과 대안의 모색

제1부 중국적 불교의 시작
제2장 한역 대장경의 출현
Ⅰ. 중국적 불교의 시작 / Ⅱ. 불전의 번역과 해석 / Ⅲ. 목록 작업과 교리의 분류 / Ⅳ. 한역 대장경 시대의 개막
제3장 불교와 유교의 충돌
Ⅰ. ‘효’의 나라 중국 / Ⅱ. 불교와 유교 윤리와 충돌 / Ⅲ. 불교 쪽의 반응 / Ⅳ. 유·불·도 3교의 ‘효’이론 비교
제4장 불교와 도교의 충돌
Ⅰ. 도교와의 차별화 / Ⅱ. 길장의 외도 비판; ‘유’와 ‘무’의 변증 / Ⅲ. 당대 화엄교학가의 외도 비판 / Ⅳ. 불교의 우위 확보
제5장 불교 우위론의 이론적 확립
Ⅰ. 『원인론』의 중국 사상사적 위상 / Ⅱ. 인간의 본질에 대한 종밀의 분석 / Ⅲ. ‘본각진심’의 의의

제2부 종밀 교학의 지평
제6장 규봉 종밀의 자아관
Ⅰ. 무상과 자아 / Ⅱ. 자아론의 비판과 해체 / Ⅲ. 중국화된 자아론 / Ⅳ. 참 자아의 요청
제7장 규봉 종밀의 선종관
Ⅰ. 선종의 출현 / Ⅱ. 종밀이 분류한 당시 선종 / Ⅲ. 종밀의 선 사상 이해와 그 특징 / Ⅳ. 종밀의 선종 비판은 사실에 근거했는가 / Ⅴ. 선종의 심성론
제8장 규봉 종밀의 수행관
Ⅰ. 남돈(南頓) 북점(北漸) / Ⅱ. 수행 이론의 여러 양상 / Ⅲ. 돈오점수의 현창
제9장 규봉 종밀의 의례관
Ⅰ. 불교 의식의 정의와 분류 / Ⅱ. 종밀 선사에 의한 ‘교리’와 ‘의식’의 체계화 / Ⅲ. 정원 법사에 의한 ‘교리’와 ‘의식’의 체계화 / Ⅳ. 현행 예공의식과의 관계 모색

제3부 법성교학의 정립
제10장 종밀의 교학과 법성교학의 만남
Ⅰ. 화엄 조사로서의 종밀 / Ⅱ. 요간(料揀)과 회통(會通)을 통한 법성종의 현양 / Ⅲ. 법성종 현양의 의의 / Ⅳ. 인간의 본성에 대한 신뢰
제11장 화엄의 법성교학
Ⅰ. 법성교학 / Ⅱ. 법성의 믿음 / Ⅲ. 부처님의 가르침 / Ⅳ. 화엄의 수행법 / Ⅴ. 보현행원의 실천
제12장 화엄의 법계관
Ⅰ. 법성교학의 실천 이론 / Ⅱ. 『법계관문』의 구성 / Ⅲ. 『법계관문』에 나오는 ‘관(觀)’의 성격 / Ⅳ. 화엄 법계의 체험
제13장 화엄의 보현행원 의례
Ⅰ. 법성의 교학과 의례 / Ⅱ. 「보현행원품」의 출현과 그 내용 / Ⅲ. 『보현행원품』에 입각한 의례 / Ⅳ. [삼보통청]과의 비교

제4부 법성교학의 응용
제14장 법성교학에서 본 선사상
Ⅰ. 당대 선종의 출현과 계보의 왜곡 / Ⅱ. 선어록에 쓰이는 논법 / Ⅲ. 『사가어록(四家語錄)』의 사례 분석 / Ⅳ. 선정일치
제15장 법성교학에서 본 정토사상
Ⅰ. 선과 정토의 관계 / Ⅱ. 희망의 나라로 향하는 동경 / Ⅲ. 법성교학에서 본 정토 / Ⅳ. 다양한 방편문의 제시
제16장 법성교학에서 본 계율사상
Ⅰ. 대승불교의 윤리 생활 / Ⅱ. 『범망경』 독서 여정기 / Ⅲ. 『범망경』 출현의 일대사 인연 / Ⅳ. 보살계 ‘병행’의 철학적 의의 / Ⅴ. 대승보살계로 돌아가자
제17장 법성교학에서 본 젠더
Ⅰ. 성별의 혼란 / Ⅱ. 예비적 고찰 / Ⅲ. 성별의 전환(trans)에 관한 근거 모색 / Ⅳ. 법성교학에서 본 대안

맺음말 : 미래를 향한 제안
제18장 생활 속의 법성교학
Ⅰ. 이 땅의 법성교학 / Ⅱ. 대승의 수행 공동체에 들어가기 / Ⅲ. 신행생활로 돌입하기 / Ⅳ. 법성교학의 법회 양식 모색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