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려에서 이룩한 가장 높은 수준의 동아시아 시문학
『고려의 동아시아 시문학』은 먼저 저자의 생애와 백가의집의 탄생과정을 살핀다. 특이한 문체의 시가 필요했던 시대상황과, 책으로 정리하고 간행되어 현존하기까지의 과정을 살피면서 이해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이 책은 현존하는 여러 인본과 사본을 대조하여 원본의 복원에 접근한다. 3권 290수를 모은 시집으로, 여기에 등장하는 시구의 작가는 600인 이상이라고 한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고대말기와 중세 전반에 해당하는 문학의 유산을 고려가 보존하고 활용한 근거가 된다.


저자소개

저자 허흥식

서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교수를 역임하고, 이탈리아 나폴리 동양학대학교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 로스앤젤레스 분교에서 강의했으며, 북경대학교에서 연구교수로 활동했다. 두계학술상과 출판문화저작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고려의 문화전통과 사회사상』, 『고려의 과거제도』, 『한국중세불교사연구』, 『조선시대의 과거와 벼슬』, 『고려불교사연구』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서론
고려에서 이룩한 가장 높은 수준의 동아시아 시문학

제1장 저자의 출신과 생애
1. 저자의 출신과 가족
2. 급제와 활동연대
3. 경력과 생몰연대

제2장 본서의 서지와 문체
1. 현존하는 인본과 사본
2. 본서의 판각과 가치
3. 백가의체의 기원과 수용

제3장 시구별 작가의 분석
1. 활용 시구의 작가별 분석
2. 시대와 공간상 분포의 특성
3. 십초시와의 관계

제4장 사회와 문화에 관한 사료
1. 국경의 관방과 시설
2. 문예사조의 갈등과 생존
3. 고려 한문학의 전통과 국제성

제5장 판독과 주석
1. 목차와 서문
2. 권1 오언시 96수
3. 권2 칠언시 79수
4. 권3 칠언절구시 115수
5. 발문과 간기

결론
동아시아 고대문명의 종말과 중세문명의 중심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