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원측의 전기 자료를 세밀하게 분석하여 그의 생애와 사상을 밝힌 책. 저자는 원측의 중국 활동을 토대로, 그가 당태종보다는 측천무후 정권과 한층 더 밀접하게 연결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이 책은 원측의 저술활동을 살피면서 현존저술의 찬술연대, 저술경향, 저술의 체제를 밝힌다. 원측의 저술을 살펴보면 유식사상의 이론체계는 결국 일음(一音)과 일미(一味)의 강조로 나아간다. 본질을 추구하는 원측 유식사상은 당시 동아시아 불교계에서 치열하게 대립하고 있던 공유쟁론의 문제를 회통시킬 수 있는 해답이 되었다. 이 밖에도 원측의 사상이 불교계에 미친 여러 영향을 꼼꼼히 살펴보며, 원측과 유식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 책이다.


저자소개

남무희

국민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했다. 「원측의 생애와 유식사상 연구」로 박사학위 취득(2006). 『주제별로 접근한 한국고대의 역사와 문화』(공저) 외에 「고구려 승랑의 생애와 그의 신삼론 사상」, 「고구려 후기 불교 사상 연구」, 「안원왕 양원왕대 정치변동과 고구려 불교계 동향」 등의 논문과 여러 편의 원측 관련 논문이 있음.
국민대·을지대·안동대에서 강의했으며, 현재 국민대와 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강사로 있다. 2004년 교양강좌 Best Teacher 상(2005년, 국민대학교). 제1회 선리연구원 학술상(2007년, 선학원). 제3대 사대보살상(대지문수보살)(2007년, 우리는 선우)을 수상했다.


목차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성과와 전망
3. 연구 방법

제1장 원측의 생애와 중국에서의 활동
1. 전기 자료 검토1
2. 원측의 생애
3. 則天武后 政權 및 신라와의 관계

제2장 원측의 찬술과 역경 참여
1. 찬술 시기와 체재
2. 역경 참여

제3장 화쟁적 유식사상의 확립
1. 원측 유식사상의 이론 체계
2. 쟁론의 회통
3. 이론과 실천의 합일

제4장 자은학파와의 대립과 서명학파의 형성
1. 자은학파와의 대립
2. 서명학파의 형성과 계승

제5장 원측사상의 역사적 의미
1. 唐代 불교계와의 관계
2. 신라불교사에서의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