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승기신론』 해설서. 간결한 문장 속에 많은 뜻을 담고자 한 마명 스님의 『대승기신론』은 인연이 있어 읽어도 깊이 있는 이해가 어렵다. 이에 이 책은 양나라 진제 스님의 번역본을 바탕으로 『대승기신론』을 풀어쓰고 있다. 번역문에는 과목표에 나타난 세부 차례를 제목으로 달아 논의 뜻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저자소개

정화스님
고암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해인사 · 송광사 · 백장암 등에서 수행 정진하고 있다.


목차

25장 삶과 죽음을 이어가는 염법의 훈습
26장 삶과 죽음을 넘어서는 정법의 훈습
27장 허망한 마음에 스며드는 진여의 훈습
28장 부처가 부처를 보게 하는 것_진여의 훈습
29장 부처이면서 부처를 보지 못하는 까닭

30장 부처님 법을 성취하는 인연
31장 불보살님들의 훈습
32장 진여가 자신의 숨이 된 단계와 아직 숨임을 알지 못한 단계
33장 정법의 훈습은 끊어지지 않는다
34장 삶의 낱낱 모습이 진여의 공덕상
35장 진여가 만든 빈 자리에서 드러나는 장엄
36장 진여의 작용
37장 외연으로 나타나는 진여의 작용_응신과 보신
38장 한마음인 진여가 보여 주는 생명 나눔
39장 법신은 지혜의 몸
40장 생멸문에서 진여문으로

41장 아견이 사라지면 집착도 없어
42장 오온 그 자체가 바로 열반이니 법에도 실체가 없다
43장 허망한 집착을 완벽하게 떠난다는 것
44장 신심이 성취된 수행자
45장 믿음을 성취하기 위한 세 가지 마음
46장 번뇌의 허망한 집착을 다스리는 묘술
47장 진여의 삶을 살아가는 네 가지 방편
48장 수행자의 마음에 드리운 법신의 향기
49장 이해하고 실천하는 발심
50장 증득한 발심

51장 발심 공덕의 원만한 성취
52장 모든 것을 통달한 지혜
53장 신심을 어떻게 닦을 것인가
54장 닦아야 할 네 가지 신심
55장 보시 · 지계 · 인욕 · 정진
56장 지止와 관觀은 하난의 수행문
57장 지수행
58장 지수행으로 얻게 되는 진여삼매
59장 지수행시 겪게 되는 마장
60장 진여삼매의 열 가지 이익

61장 자비심을 기르는 관수행
62장 지止와 관觀을 함께 닦아야 함
63장 부처가 되는 '그리움'이 염불하는 마음
64장 수행으로 얻게 되는 이익_소중하고 귀한 삶
65장 대승을 믿는 마음
66장 부처 되는 길을 잃다
67장 대승에 대한 신심을 배우고 닦기를
68장 공덕을 회향하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