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종교의 대부활을 고민하다!
'나남신서' 제1339권 『막스 베버 종교사회학 선집』. 첨단과학이 이루어낸 21세기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종교의 학문적, 정치적 대부활로 출발했다. 원인과 배경에 상관없이 종교는 여전히 우리의 삶에 막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20세기 독일 태생의 현대사회학 사상가 막스 베버의 종교사회학 사유의 정점이 담긴 논문 4편을 통해 종교적 초월의 세속적 의미를 탐구한다. 특히 현대인을 지배하는 가장 숙명적 힘인 근대자본주의가 16~17세기 서유럽에서 발생하게 된 원인을 기독교에서 추적하고 있다.
또한 기독교뿐 아니라, 유대교, 유교, 도교, 불교, 힌두교 등의 세계종교로 분석할 대상을 넓혀, 그들의 세계관 구조를 합리주의라는 기준으로 분석한다. 종교로 인한 문명간 대립과 갈등의 원인뿐 아니라, 화해의 가능성도 모색하고 있다. 그러한 여정을 거침으로써, 세속화된 21세기에 종교의 의미를 성찰한다. 종교의 대부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나침판이 되어주고 있다.


목차

역자서문

신분집단, 계급 그리고 종교
1. 농민층의 종교성
2. 초기 기독교의 도시적 성격
3. 귀족과 종교성: 기사적 신앙전사(騎士的 信仰戰士)
4. 관료층과 종교성
5. 시민계층의 종교성
6. 경제적 합리주의와 종교적-윤리적 합리주의
7. 소시민층의 매우 다양한 종교적 태도: 수공업자층의 종교성
8. 특권으로부터 가장 많이 소외된 계층의 윤리적 구원종교성
9. 구원종교의 계급규정성 및 신분규정성
10. 유대교적 그리고 힌두교적 천민-종교성: 원한
11. 지식인층이 종교에 미친 영향
12. 유대교와 초기 기독교에서의 소시민적 주지주의
13. 상류층 주지주의와 평민적 주지주의, 파리아적 주지주의와 종파적 종교성
14. 서구에서 종교적으로〈계몽된 자들〉의 교단형성

세계종교와 경제윤리: 비교 종교사회학적 시도
서 론
1. 문제제기: 종교, 경제윤리, 사회계층
2. 종교발생의 심리적-사회적 동인
3. 종교적 합리화 과정과 사회계층
4. 종교적 엘리트 집단의 성격과 경제윤리
5. 방법론적 관점
6. 지배조직으로서의 종교 공동체

세계종교와 경제윤리: 비교 종교사회학적 시도
중간고찰:종교적 현세거부의 단계와 방향에 대한 이론
1. 현세거부 동기의 합리적 체계화 작업이 가진 의미
2. 금욕주의와 신비주의의 유형론
3. 현세거부의 방향
4. 현세거부의 제 단계
5. 신정론의 세 가지 합리적 형태

종교사회학 논문집
서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