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우리 민족의 민간의 세계관 및 신앙체계를 불교가 어떻게 받아들였는가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책이다. 이 책은 사찰에 잔존해 있는 민속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불교민속을 살펴보면서 불교와 민속이 습합하여 토착화하는 과정을 현장 답사하여 실증하였다. 특히 구비문학으로 형상화되어 민중들에게 영향을 끼친 점에 주목하고 있다. 불교민속이 불교가 주체가 되어 민중에 의해 전승되어 온 민속을 수용·융합한 형태로 나타나는 각종 놀이나 노래를 통해 불교와 토속적·민중적 신앙의 일체화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불교와 민속신앙

법주사의 전통적 민속

1. 머리말
2. 기자신단 장수바위
3. 법주사 탑돌이
4. 맺음말

불국사와 동물숭배관

1. 머리말
2. 자연숭배사상과 동물담
3. 맺음말

백양사의 민속신앙

1. 머리말
2. 백암산 국기제와 산천신앙
3. 장승과 조탑신앙
4. 조왕신앙
5. 맺음말

인각사 주변의 민속

1. 머리말
2. 민간신앙
3. 민속놀이
4. 구비문학
5. 맺음말

불교의례와 민간문예의 교섭양상

1. 머리말
2. 불교민속의 대상과 불교의례
3. 삼신신앙과 무불습합
4. 민간문예: 장례의식요의 구조
5. 한국인의 생사관
6. 맺음말

세시풍속에 미친 불교민속

1. 머리말
2. 죽지사에 반영된 불교민속
3. 맺음말

한국 풍류 인물 고 -김시습을 중심을-

1. 머리말
2. 한민족의 풍류 정신
3. 김시습의 생애와 국토편력
4.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꿈
5. 맺음말

미륵사상과 동학-민간신앙적 측면을 위주로-

전통문화와 민속신앙

성조가와 민간신앙

1. 머리말
2. 가신신앙의 종류
3. 성조가에 나타난 신앙
4. 맺음말

전통상례와 천도의례

1. 전통의례
2. 불교의례
3. 한국인의 사생관

혜초의 구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