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항일 독립 사상을 고취한 민족시인이자, 불교의 대중화에 힘쓴 종교인. 만해 한용운의 시와 시조, 산문과 사진 자료를 한 권에 담은 선집이다. 문학사상사가 창사 30주년을 기념하여 내놓은 '한국대표시인 101인 선집' 시리즈 중의 하나로 출간되었다.

시집 <님의 침묵>에 수록된 시 전편과, 그 외의 발표작 20여 편, 시조 20여 편, 동시 3편, '조선독립의 서'를 비롯한 산문 6편을 함께 실었다. 지은이의 독특한 시어나 방언의 경우 그대로 살리고, 상세한 주를 달았다. 이밖에 출가 당시 만해의 사진과 육필원고 및 책 표지 사진을 수록하고, 문학평론가 이숭원, 박태일의 작가.작품론을 함께 실었다.

 
저자소개
한용운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 용운(龍雲)은 법명이며, 만해(萬海)는 법호이다. 충청남도 홍성에서 태어났다. 서당에서 한학을 익혔으며 16세경에 고향을 떠나 설악산 오세암에 입산하여 불교 서적을 읽었다. 그 뒤 1905년 백담사에서 연곡(連谷)을 스승으로 하여 득도의 경지에 이르렀으며 계를 받아 승려가 되었다. 《불교대전》과 《조선불교유신론》을 편찬하여 한국 근대 불교의 혁신운동을 펼쳤으며, 1919년 3.1운동 때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참가하여 일제강점기 동안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또한 1926년에 한국 근대시의 기념비적인 작품 <님의 침묵>을 발표하였다.

목차

- 한국대표시인 101인 선집 간행사
- 작품론 : 사랑과 혁명, 평화의 미학 / 김재홍
- 작가론 : 만해 한용운의 시, 그리고 소설 / 권영민
- 작가 및 작품 연보

님의 침묵
군말 l 님의 침묵 l 이별은 미의 창조 l 알 수 없어요 l 나는 잊고자 l 가지 마셔요 l 고적한 밤 l 나의 길 l 꿈 깨고서 l 예술가 l 이별 l 길이 막혀 l 자유정조 l 하나가 되어주세요 l 나룻배와 행인 l 차라리 l 나의 노래 l 당신이 아니더면 l잠 없는 꿈 l 생명 l 사랑의 측량 l 진주 l 슬픔의 삼매 l 의심하지 마셔요 l 당신은 l 착인 l 밤은 고요하고 l 비밀 l 사랑의 존재 l 꿈과 근심 l 포도주 l 비방 l '?' l 님의 손길 l 해당화 l 당신을 보았습니다 l 비 l 복종 l 참아주셔요 l 어느 것이 참이냐 l 첫 '키스' l 정천한해 l 선사의 설법 l 그를 보내며 l 금강산 l 님의 얼굴 l 심은 버들 l 낙원은 가시덤불에서 l 참말인가요 l 꽃이 먼저 알아 l 찬송 l 논개의 애인이 되어 그의 묘에 l 후회 l 사랑하는 까닭 l 당신의 편지 l 거짓 이별 l 꿈이라면 l 달을 보며 l 인과율 l 잠꼬대 l 계월향에게 l 만족 l 눈물 l 반비례 l 어디라도 l 떠날 때의 님의 얼굴 l 최초의 님 l 두견새 l 나의 꿈 l 타고르의 시 'Gardenisto'를 읽고 l 우는 때 l 수의 비밀 l 사랑의 불 l '사랑'을 사랑하여요 l 버리지 아니하면 l 당신 가신 때 l 요술 l 당신의 마음 l 여름밤이 길어요 l 명상 l 칠석 l 생의 예술 l 꽃싸움 l 오셔요 l 거문고 탈 때 l 쾌락 l 고대 l 사랑의 끝판 l 독자에게

심우장 산시
산거 l 산골 물 l 모순 l 쥐 l 천일 l 해촌의 석양 l 일출 l 강배 l 낙화 l 일경초

시조
환가 l 조춘 l 선우에게 l 선경 l 춘화 l 춘조 l 추야단 l 코스모스 l 어옹 l 남아 l 성공 l 추화 l 직업부인 l 표아 l 추야몽 l 한강에서 l 사랑 l 우리 님 l 무제 십사수 l 무궁화 심고자

동시
산 넘어 언니 l 달님 l 롱의 소조

한용운 시선
일경초의 생명 l 심 l 가갸날에 대하여 l 성불과 왕생 l 성탄 l 비바람 l 반달과 소녀 l 산촌의 여름 저녁 l 세모

산문
조선독립의 서 l 신앙에 대하여 l 나는 왜 중이 되었나 l 선과 인생 l 선과 자아 l 명사십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