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다산 정약용을 이야기할 때면 수식어처럼 따라다니는 용어가 바로 실학이다. 실사구시, 경세제민의 철학. 봉건시대의 일반 학자들과는 달리 정약용은 현실의 문제를 직시할 줄 알았다. 그의 학문이나 진리에 대한 입장, 자연과 인간에 대한 관심은 사회현실 문제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순수한 철학적 문제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조선 사회의 근대화를 지향하는 사회변혁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다산 정약용은 오늘도 전통과 현대, 특수와 보편, 신념과 진리, 종교와 과학, 대립과 통합, 갈등과 화합의 문제를 떠안고 사는 한국인에게는 넘어야 할 산이다.


목차

한국의 사상가 10인을 출간하며
해제: 다산사상의 연구와 이해
제1부 다산 정약용의 철학사상
다산 정약용의 인간관/ 박홍식
정약용의 과학사상/ 장화익
다산 철학과 천주실의의 철학적 패러다임의 유사성/ 송영배
성리학과 그 실학, 그 근본사고의 동이성에 대한 고찰/ 윤사순
동서융합의 측면에서 본 정약용의 사상/ 이광호

제2부 다산 정약용의 경학과 역학
개신유학과 다산 경학/ 이을호
정약용의 경학관/ 김영호
다산역의 변증법/ 방인
정약용의 시경론과 청초학술/ 심경호

제3부 다산 정약용의 종교, 예술사상
다산 예학에서의 제천의례 문제/ 금장태
다산 사상에서의 상제 도입경로에 대한 서설적 고찰/ 이동환
다산 사상에서의 상제도입의 경로와 성격/ 이동환
악서고존의 음악사학적 조명/ 권태욱

제4부 다산 정약용의 사회, 역사 및 문학관
정약용의 상공업정책론/ 강만길
다산정약용의 일본관/ 하우봉
정약용의 사상과 문학/ 송재소

부록
다산 정약용 관련 연구물 목록
수록 논문 원게재지
필진 약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