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상담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사람들은 과학적, 심리학적 연구의 수행에 있어서 부담감을 가지는 원인을 여러 각도에서 검토, 연구수행 능력과 연구보고서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담과 상담연구, 상담심리학 연구에 관한 기초적 이론을 간략히 개괄하고 상담효과연구의 기초, 상담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설계, 다양한 전략과 메타분석, 내담자 및 상담자 변인에 관한 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성과 간의 관계 등을 상세히 설명했다.

 


저자소개

김계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석사(교육심리학 전공)

미국 University of Oregon 상담심리학과 박사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사 1급 전문가

) 한국상담학회 회장(2002~2004)

한국상담학회 산하 기업상담학회 고문, 대학상담학회 수련감독급

전문 상담사

)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대표저서: 카운슬링의 실제(학지사, 2002), 상담심리학연구 I, II(학지

, 2000, 2001) 등 다수

관심분야: 각급 학교는 물론 기업, , 법원 등 다양한 장면에서 상담을

적용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목차

1. <주제론과 방법론>

1-상담연구의 기초

1장 상담과 상담연구

2장 상담심리학 연구의 기초

3장 연구수행의 실제


2부 상담은 효과가 있는가?

4장 상담효과연구의 기초

5장 상담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설계

6장 상담성과연구의 다양한 전략과 메타분석

 

3부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장 내담자 및 상담자 변인에 관한 연구

8장 상담 및 심리치료의 과정과 성과 간의 관계

9장 상담의 성과와 기타요인



2. <집단, 진로, 학업, 가족상담>

1. 집단상담연구

1. 외국의 집단상담연구에 대한 개관

2. 우리나라의 집단상담연구 논문분석

 

2. 진로 및 직업상담연구

3. 외국의 진로. 직업상담연구 동향

4. 국내의 진로.직업상담 관련 학위논문 목록

 

3. 학업상담연구

5. 학업상담 관련 연구개관(국내외)

6. 학업상담 관련 국내 학위논문 목록

 

4. 가족상담. 치료연구

7. 가족상담. 치료의 효과와 과정에 관한 연구(외국)

8. 가족상담.치료 관련 국내 학위논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