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관 (집중명상과 관찰명상)의 삼매를 닦아 무아와 공성의 진리를 직관함으로써 번뇌장과 소지장을 제거하는 지혜의 수행, 일체중생 구제를 위해 성불을 추구하는 보리심을 일으킨 후 그러한 보리심을 바탕으로 육바라밀의 이타행을 하여 복덕을 쌓는 수행, 이러한 지혜와 복덕의 두 가지 수행을 병행함으로써 세속적으로도 나와 남을 모두 행복으로 이끌어주고 궁극적으로도 자타를 모두 괴로움에서 완전히 벗어난 해탈과 성불로 인도하는 것이 바로 대승의 길입니다.

 


저자소개

범천

1999년 출가한 후, 2003년 티베트불교를 배우기 위해 티베트 망명정부가 있는 북인도 다람살라로 유학길을 떠났다. 이후 그곳의 승가대학(IBD)에 입학해 교학에 정진했고, 2006년에는 달라이라마로부터 비구 수계를 받았다. 스님은 승가대학에서 파르친(반야부) 과정을 정식으로 마친 뒤 2015년 말 귀국했다.

모진 세상 바람처럼, 불교논리학의 향연, 불경의 요의와 불요의를 분별한 선설장론, 명상의 순서, 보살의 길, 불교 안팎의 교리, 달라이라마의 사랑노래등 다수의 저서와 번역서를 출간했다.

 


목차

서론

 

소승과 대승을 나누는 기준

발심

수행

육바라밀

1. 보시

2. 지계

3. 인욕

4. 정진

5. 선정

6. 반야

공성

보살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

1. 인과칠결

2. 자타상환법

 

5

1. 자량도

2. 가행도

3. 견도

4. 수도

5. 무학도

부처의 네가지 몸

 

수심팔송 삼종요도

보살수행 37

보리도등론

보살계율보만

 

수습차제 중본

 

종의보만

 

<부록> 선설장론 요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