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시대 불교정책과 이에 따른 밀교종파에 미친 영향과 함께 불교탄압의 상황속에서도 행해진 각종 밀교의례들이 행해지고 진언집의 발간되는 등의 밀교 신앙의 전개와 함께 이를 통한 밀교문화의 사회적 영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목차

1. 조선 초기 불교정책과 밀교종파의 변화

 1) 조선의 건국과 불교정책

 2) 조선 초기 밀교의식의 설행

 3) 조선 초기 밀교종파의 축소


2. 조선 초기 설행의례와 밀교사상

 1) 수륙재(水陸齋)에 나타난 밀교사상

 2) 조선 초기 개설된 밀교도량


3. 조선시대 <진언집> 발간과 밀교적 특성

 1) <진언집) 발간의 연기

 2) <진언집>의 출세간적 소재

 3) 의례의 유형

 4) 한국 밀교 전승의 특수성


4. 조선조 대중 속에 스며든 밀교 신앙

 1) 영산재(靈山齋) 속의 밀교 신앙

 2)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와 밀교 신앙

 3) 신중 신앙 속에 보이는 밀교사상

 4) <칠대만법(七大萬法)>과 <천지팔양신주경(天地八陽神呪經)>의 간행

 5) <천수경(千壽慶)>에 나타난 밀교 신앙


5. 불교의식집의 도상을 통하여 본 조선 후기 불교의식의 밀교적 양상

 1) 불교의식집의 제 도상과 밀교도상

 2) 불복장(佛腹藏)의 천원(天圓) 지방도(地方圖)와 양부만다라

 3) 자기관음밀주관념도[육자관념도]와 자륜관법(字輪觀法)

 4) 현세이익에 기반을 둔 기호학적 도상과 밀교 호마법(護摩法)


6. 조선조 밀교문화의 발전

 1) 밀교와 정토(淨土)의 습합

 2) 밀교와 선(禪)의 교류

 3) 조선조 밀교경전의 강행

 4) 불복장과 밀교사상

 5) 조선조 불화에 나타난 밀교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