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월암 스님의 『돈오선』. 번뇌와 망념이 공함을 깨달아 괴로움에서 벗어나 일념 중에 육도만행(六度滿行)을 구족하는 '돈오선(頓悟禪)'에 대한 지침서다. 마음이 부처이며 사람이 부처임을 깨달아 부처의 길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도한다. 양장본.


목차

- 책을 펴내며
- 이끄는 말

제1장 돈점 수증의 연원
1.인도불교의 돈점사상
1)원시불교의 돈점관
2)부파불교의 돈점관
3)대승불교의 돈점수증론

2.중국 초기불교의 돈점논쟁
1)대돈오와 소돈오의 논쟁
2)돈오와 점오의 논쟁

제2장 돈오선과 남돈북점의 논쟁
1.복종의 돈점수증관
2.혜능의 돈오선 제창
1)돈오선의 기초이론-견성성불
(1)자성청정-식심견성
(2)정혜등과 일행삼매
2)돈오선의 수증과 실천
(1)돈오돈수와 일념성불
(2)무념·무상·무주
3.신회와 남돈북점의 논쟁
1)돈오선(육조현창)운동
2)돈오선 지위의 확립
(1)자성청정과 공적영지
(2)돈오의 정의와 돈오점수
3)신호의 돈어선의 실천
(1)무념위종
(2)정혜등지와 무주행

제3장 돈오선사상의 전개와 수증론
1.홍주종(조사선) 돈오선사상의 전개
1)자성청정과 즉심즉불
2)무념수행-무수무증
3)응기접물의 교화방편
2.하택종 돈오선사상의 전개
1)자성청정과 정혜쌍수
2)돈점수증과 돈점쌍입
3)공적영지와 선교일치
3.연수의 돈점사구-조사선의 돈점관
1)연수의 돈점사구
2)조사선의 돈점관

제4장 한국선의 돈점수증
1.한국선의 돈점수증론
1)보조의 돈점수증론
2)한국선불교의 돈점관
(1)보조 이후 고려선종의 돈점수증론
(2)조선선종의 돈점수증론
3)현대 한국선의 돈점논쟁
2.돈점수증론의 회통

-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