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금강반야바라밀경은 그 본래 이름보다 금강경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금강경은 오늘날 우리나라 대승불교의 골수인 무아, 즉 공()사상을 가장 잘 드러낸 경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금강반야바라밀이란 금강석(다이아몬드)과 같이 견고한 지혜를 얻어 열반에 이르라는 부처님의 말씀을 의미하는데, 이 책 반야는 반야를 완성하고는 반야, 즉 지혜를 이르는 말로 지혜로 지혜를 잣고자 한 지은이의 마음을 담았다.

 

함허 득통과 육조 혜능, 야보의 게송, 양나라 부대사(부흡), 예장 종경 등의 게, , 설 등을 필요에 따라 옮겨 역해하였다. 저자는 금강경오가해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축자 및 의역하여, 금강경의 신비를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하게 하고자 했다.

 


저자소개

송준영

경북 영주 출생. 법명 취현(醉玄). 당호 월조(越祖). 18세 선문(禪門)에 든 후, 동암성수, 탄허택성, 고송종협, 퇴옹성철, 서옹상순, 설악무산 등 제조사를 참문하다. 서옹선사에게 7년간 일곱 차례 서래밀지(西來密旨)를 묻고 수법건당(受法建幢)하다(임신년 8). 설악선사로부터 전법게를 받다(임진년 2). 시집 눈 속에 핀 하늘 보았니, 습득, 조실, 물 흐르고 꽃피고와 수상시집 습득이 있다. 논저로 취현반야심경강론, 표현방법론으로 본 선시연구, 의 시각으로 읽는 반야심경이 있다. 선서, 선문염송 강의록으로 현대언어로 읽는 선시의 세계, , 빈거울의 언어, 선사열전 황금털 사자의 미미소, , 발가숭이 어록, 선시론으로 , 언어로 읽다, , 초기불교와 포스트모더니즘 너머, 현대시의 이론과 실제가 있고, 편저로 빈 거울절간과 세간 사이에 놓기, 이승훈의 문학탐색, 지혜의 언덕 너머 춤추는 기호가 있다. 6회 박인환문학상과 17회 현대불교문학상, 16회 유심학술상을 수상했다. 현재 계간 시와세계현대선시발행인 및 주간으로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