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성학십도'1568년 겨울, 퇴계가 조정을 떠나면서 선조 임금에게 올린 글로, 제왕이 감당해야 할 심학(心學), 즉 마음의 경작법을 그림 열 장으로 정리한 것이다. 퇴계는 방대한 유교 고전의 숲을 뒤져 핵심 텍스트를 선별, 순서를 매기고, 거기에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다. 각각의 그림들은 인간이 어디에서 왔는지, 내가 누구인지, 그리고 왜 이렇게 부자유한 존재로 전락하게 되었는지, 또 그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지식과 기술을 어떻게 연마해야 하는지를 일러주고 있다.

 


저자소개

한형조

동해안의 바닷가에서 태어나 자랐다. 부산의 경남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다. 불교로 동양학에 입문하여, 일상에서 구원을 모색하는 유학을 공부했다. 다산 정약용의 고전해석학(經學)을 다룬 "주희에서 정약용으로의 철학적 전환"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의 한국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동안 띠풀로 덮인 동아시아 고전의 옛길을 헤쳐왔다. 고전을 통해 삶의 길을 배우고, 문명의 비평적 전망을 탐색하고 있다.

 


목차

讀圖를 시작하며

서문(進箚), 여기 비밀의 지도 열 장을 올리오니

1 太極인간의 기원

2 西銘인간의 소명

3 小學전락 그리고 기초 훈련

4 大學교육의 프로그램

5 白鹿洞規지식 그리고 실천

6 心統性情마음의 본질과 역동을 말한다

7 仁說성장이냐 쇠락이냐

8 心學마음의 실전 수련

9 敬齋箴주시와 집중의 힘

10 夙興夜寐箴선비의 일과

인용 서목

찾아보기

󰡔성학십도󰡕 원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