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무량수여래회

정토5경 1론과 정토 조사스님들의 어록에 근거한 부처님과 조사스님들의 정토법문에 따라 염불하는 불자들의 모임이다. 정토 경전과 논서 등을 통해 한국과 중국 등의 다양한 정토법문을 두루 공부하되 일심정토, 서방정토, 순수정토, 유심정토 등 미묘한 교법들을 두루 원만히 공부하며 믿음ㆍ발원ㆍ염불행을 통해 왕생극락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살아서는 아미타부처님의 본원에 따라 안심安心을 얻고 종파를 떠나 정토 행자들의 화합과 친목을 도모하며, 정토법문을 널리 펼쳐 한 사람이라도 육도윤회에서 벗어나 극락정토에 왕생할 수 있도록 경전과 정토서적의 번역ㆍ발간ㆍ보급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펴낸 책으로는 『정토오경일론』, 『정토삼부경과 감응록』, 『한글 사경본 불설무량수경』, 『한글ㆍ한문 독송용 무량수경』, 『아미타경 무량수경 약본』, 『방생살생현보록』, 『간추린 정법념처경』 등이 있다.
한편, 무량수여래회는 매달 2회 이상 정기적으로 철야염불정진법회를 봉행하고 있다.      


목차

제1부. 정토도언淨土導言
서론 12
1. 만법유식: 경계는 식(識)에 따라 변화한다 13
2. 8식에 대한 간략한 해설 20
3. 죽음과 삶의 정황 30
4. 해탈의 관건 38
5. 정토법문, 특별한 지름길 45

제2부. 임종혹문臨終惑問
머리말 68
1. 몸과 마음의 관계는 어떠한가,
그리고 8식간의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70
2. 불법에서는 「사망」을 어떻게 정의하는가,
언제가 진정한 「사망」시간인가? 72
3. 「임종」단계에서 8식의 작용은 어떠한가? 74
4. 「임종」시에 영접하러 오신 부처님을 뵙고,
「명종」할 때 극락왕생을 한다는 것은 무슨 이치인가? 77
5. 「임종」조념의 요령은 무엇인가,
신체를 옮기거나 장기를 채취해도 되는가? 79
6. 정토행자들의 관점에서 「장기기증」에 대한 입장은 무엇이며,
언제 기증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는가? 82
7. 근래에 「임종」시에 장기기증을 주장하지 않는 정토종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비난하고 있는데... 85

제3부. 불법도론佛法導論(정토편)
인광대사의 서문 90
1. 정토종의 역사[宗史] 93
2. 정토법문을 찬양함[讚揚] 97
3. 수행법문의 결택[抉擇] 101
4. 이와 사[理事] 107
5. 의보와 정보[依正] 116
6. 믿음을 일으킴[起信] 123
7. 정토왕생의 발원(發願) 128
8. 정토법문의 실천수행[行持] 138
9. 염불을 권장함[勸進] 148
10. 보리심을 일으킴[發心] 159
※ 이원정(李圓淨) 거사 165

제4부. 염불론念佛論
1. 종파불교의 발생 170
2. 염불의 의의 173
3. 나[我]는 누구인가? 176
4. 가명(假名)과 가상(假相) 178
5. 염불법문은 가장 쉽고 가장 빠른 지름길 181
6. 자성에는 미타, 유심에는 정토 186
7. 한마디 아미타불은 최상승법,
무량한 법문(法門)을 포괄함 189
8. 아미타불을 염하면 육근이 청정해짐 192
9. 성불의 원리 194
10. 염불과 계율의 중요성 196
11. 지계는 부처님의 유훈(遺訓) 198
12. 부처님의 칠중(七衆) 제자 201
13. 삼보에 귀의한다는 것은 202
14. 오계의 생활화 205
15. 사념처와 팔정도란 207
16. 염불의 방법 211
17. 실천하지 않으면 진정한 지혜 아님 212
18. 오고감이 자유자재함 216
19. 여거사 장씨 이야기 220
20. 인생에서 가장 요긴한 일은 생사 해결 223
※ 불교 중흥에 몸 바친 담허대사 225

제5부. 정종심요淨宗心要
1. 세존께서는 오직 아미타부처님 본원의 바다를 설하셨다 232
2. 아미타경 종요宗要 234
3. 대승무량수경 종요 240
4. 허운 노화상 설법의 정업심요淨業心要 260

제6부. 정수첩요
오념법문의 간단한 수행법 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