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표충사(表忠祠)는 송운(松雲)대사를 추모하기 위해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載藥山)에 세운 사당이다. 1610년 송운 대사가 입적한 이후 밀양 지역의 선비들과 승려들이 봄 과 가을에 제사를 지냈고, 병자호란이 일어나 폐허가 되었던 것을 1714년(숙종 40)에 밀양 선비들의 뜻에 따라 군수 김창석(金昌錫)이 조정에 계啓를 올려 제수(祭需)를 내려 줄 것을 청하였고, 사당을 다시 세워 송운 대사와 그의 스승인 서산(西山)대사,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 싸움 에서 전사한 기허당(騎虛堂)의 영정을 모셨다. 그 뒤 송운 대사의 5대 법손 남붕(南鵬)이 크게 중 창하고자 1738년(영조 14)에 사명대사의 행적을 갖추어 조정에 올렸고, 이에 임금이 교지를 내려 중수하도록 하였다. 현재 밀양 표충사表忠寺에 소장되어 있는 이 시첩은 당시 서울에 왔던 남붕 선사가 유명한 이들을 찾아다니며 받은 시문을 모은 것들이 대부분이고, 송운 대 사가 당시에 받은 시들이 몇 편 수록되어 있다. 

표충사 시첩 1권부터 5권까지는 제명이 ‘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이고 이후 3권은 제명이 없 고, 한 권은 ‘증송운시첩(贈松雲詩帖)’으로 되어 있다. 《증송운시첩》을 제외하고는 제목이 없는 것들도 《표충사제영》에 해당한다. 《표충사제영》 표지에는 ‘共十’이라고 오른쪽 하단에 적혀 있으므로 총10권일 텐데 현재는 8권만 남아 있다. 《표충사제영》에는 따로 순서 표시가 되 어 있지 않으므로 임의로 순서를 붙여 소개한다. 1권에는 《표충사기(表忠祠記)》 등 산문이 10 편 있고 그 외에는 송운 대사의 업적을 기리는 시이다. 『증송운시첩』과 『표충사제영』의 시 를 총괄하면 도합 153인의 160수 가량이 된다. 《표충사제영》에 수록된 시들은 대개 1738년에 남붕의 요청에 따라 지어진 것들이다.

저자소개

저자 : 동국대학교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사업단


목차

일러두기 _ 4 

발간사 _ 15 

해제 _ 표충사 시첩 해제 | 18 

贈松雲詩帖………………………………………………………………… 27 

表忠祠題詠 一……………………………………………………………… 45 

表忠祠題詠 二………………………………………………………………113 

表忠祠題詠 三………………………………………………………………175 

表忠祠題詠 四………………………………………………………………213 

表忠祠題詠 五………………………………………………………………259 

表忠祠題詠 六………………………………………………………………337 

表忠祠題詠 七………………………………………………………………361 

表忠祠題詠 八………………………………………………………………391 

찾아보기 _ 409

책 속으로

持忠被義越重溟 충과 의를 지니고서 큰 바다를 건너 

約束如羊?恕鯨 양을 잡아서 묶듯이 왜적을 징계했네 

度世刀兵非殺伐 세상을 구하는 병기라 살벌하지 않고 

返眞頂相放光靈 도를 이룬 모습은 신령한 빛을 뿌렸네 

?冠有髮曾無數 높은 갓을 쓴 속세인이 무수하지만 

慧劒降蠻孰與幷 지혜의 칼로 오랑캐 항복시켰으니 누가 나란하리오 

寄語傳心諸梵子 여러 불자에게 설법하고 마음을 전했으니 

學師寧止斷?腥 스승에게 배운 것으로 사악한 기운 끊어야 하지 않으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