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은 단세포 생물부터 인간까지 생명체의 진화 역사를 ‘먹고 소화하고 배설하는’ 행위로 들여다본 책이다. 저자, 김홍표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는 소화기관이라는 프리즘으로 생명 현상과 기원, 진화사까지 그 장대한 이야기를 엮어낸다.


저자소개

저자 : 김홍표

저자 김홍표는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아주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이다. 국립보건원 박사후 연구원과 인하대 의과대학 연구교수를 지냈으며 피츠버그 의과대학, 하버드 의과 대학에서 연구했다. 천연물 화학, 헴 생물학, 바이오 활성 가스 생물학, 자기소화, 면역학과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을 썼다. 한국연구재단이 톰슨로이터 DB의 피인용 상위 10%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조사에서 ‘2009~2014년 한국인 기초과학 상위 연구자’로 의학(4위), 약학(3위) 두 분야에 이름을 올렸다. 연구분야와 관심분야는 기초 생물학과 진화생물학, 진화의학이다. 지은 책으로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산소와 그 경쟁자들』이 있고 옮긴 책으로 『내 안의 바다, 콩팥』, 『우리는 어떻게 태어나는가』, 『진화와 의학』, 『인간과 동물의 감정표현』, 『신기관』, 『제2의 뇌』가 있다.


목차

들어가며 _5

1장. 멀고 먼 _17
우리는 무엇을 먹는가? / 영양소 삼두 정치 / 불의 발견, 식품 가공의 불을 댕기다!

2장. 굶기와 폭식 사이에서: 소화기관의 역동성 _31
사는 것은 버티는 것인가? / 겨울을 날다 / 올챙이와 개구리의 식단 / 탕가니카 호수의 시클리드 / 무엇이 너를 먹는가? / 인간의 소화기관 / 소화기관의 일반적 특성 / 소화혈관계 내강 / 통관과 브라큐어리 / 무체강동물

3장. 다세포 생물의 진화 _73
효모도 뭉친다 / 외독소와 다세포 동물의 진화 / 마이크로 RNA / 종속 영양 생명체

4장. 해면은 동물이다 _95
동정편모충류: 다세포성의 진화 / 정자는 단 한 번 진화했다? / ‘내 안의 해면’ / 세포 접착과 세포 밖 소화 / 라론 증후군: 인슐린의 기원 / 신경계의 기원 / 중배엽의 기원 / 좌우대칭의 진화 / 마침내 입과 항문

5장. 통관은 멀리 흐른다 _123
선구동물과 후구동물 / 체강 / 원생동물문의 소화 / 해면동물의 소화 / 무척추동물의 소화 / 척추동물의 소화와 음식물의 여정 / 물의 대차대조표 / 식물도 그저 죽지는 않는다 / 부속 소화기관 / 인간 혈관계 / 적혈구의 변화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일어났다 / 소화기관과 함께하는 호흡기관? / 나중 생겨난 것이 먼저 썩는다?

6장. 소화기관의 진화 _161
앞뒤축을 따르는 소화기관의 발생 유형 / 발생 과정의 등대지기, 섬모의 역할 / 좌우대칭하기의 어려움? / 연날리기 물리학: 좌우대칭동물의 진화 / 냉수마찰을 좋아하는 초파리 유충 / 소화기관이 만들어지기까지 / 거친 그림 그리기 / 배아 둘러싸기 / 장간막 / 투망 던지기 / 구멍 만들기 / 복막 / 간에는 별 모양의 세포가 있다 / 입에서 생선 썩는 냄새가?

7장. 뭐가 필수적이라고? _211
포도당은 보편타당 / 잘 부서지는 리보오스 / 과당과 포도당 / 마라톤 선수는 어떻게 2시간을 넘게 달릴 수 있는가? / 포도당과 과당의 슬픈 이야기 / 인간 모유와 갈락토오스 / 글리코겐 진화 / 유생의 진화와 브로드 유전자: 음식 나눠 먹기

8장. 나는 진정 누구인가? _245
왜 소장에 세균이 적은가? / 세균은 무얼 먹고 사는가? / 장내 세균의 원격조종 / 3억 년 내내 천적? / 바퀴벌레와 흰개미 / 통합유전체 진화이론: 동물과 세균의 키메라 / 장내 세균: 마트료시카 세상 / 왜 셀룰로오스를 잘 먹지 못하는가? / 14세기의 똥에서 발견된 무기 경쟁의 흔적 / 입 속의 거주자들

9장. 소화기관 물리학 _285
융모는 어떻게 생겼나? / 침 안의 효소: 음식의 물리학 / 자연은 어떻게 움직이는가?: 복잡계 생물학 / 자기 조직화와 질서의 기원 / 크기와 계량화 / 프랙털 생물학? / 카오스? / 먹는 것도 복잡계? /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대사율 / 미토콘드리아와 세포 거대 자본의 탄생

10장. 옥수수 수염과 신석기 혁명 _317
옥수수 수염 / 밀란코비치 주기와 고대 기후변화, 그리고 인류의 진화 / C4 / 농업혁명 / 여전히 인간은 진화 중인가? / 유전자 복사본의 수 / 무골호인과 잃어버린 유전자?

11장. 인간의 최적 식단: 지상 최대의 인간 실험 _345
더 달고 더 부드러운 / 부티르산의 비밀 / 구석기 식단 / 내일의 소화기관

참고문헌 _365
그림 출처 _376
찾아보기 _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