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방광불화엄경』(약칭 『화엄경』)은 불교의 수많은 경전(經典) 가운데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한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부처님의 깨달은 진리의 내용을 어떤 방편도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 보였기 때문에 그만큼 가장 어려운 경전이기도 하다. 이런 연유로 『화엄경』은 불교 ‘최고’의 경전이기도 하지만 또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소개

저자 여천 무비는 1943년 영덕에서 출생하였다. 1958년 출가하여 덕흥사, 불국사, 범어사를 거쳐 1964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하고 동국역경연수원에서 수학하였다. 10여 년 선원생활을 하고 1977년 탄허 스님에게 『화엄경』을 수학하고 전법, 이후 통도사 강주, 범어사 강주, 은해사 승가대학원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장, 동국역경원장, 동화사 한문불전승가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부산 문수선원 문수경전연구회에서 150여 명의 스님과 250여 명의 재가 신도들에게 『화엄경』을 강의하고 있다. 또한 다음 카페 ‘염화실’을 통해 ‘모든 사람을 부처님으로 받들어 섬김으로써 이 땅에 평화와 행복을 가져오게 한다.’는 인불사상(人佛思想)을 펼치고 있다. 

저서로 『신금강경 강의』, 『직지 강설』(전 2권), 『법화경 강의』(전 2권), 『신심명 강의』, 『임제록 강설』, 『대승찬 강설』, 『유마경 강설』, 『당신은 부처님』, 『사람이 부처님이다』, 『이것이 간화선이다』, 『무비 스님과 함께하는 불교공부』, 『무비 스님의 증도가 강의』, 『일곱 번의 작별인사』, 무비 스님이 가려 뽑은 명구 100선 시리즈(전 4권) 등이 있고, 편찬하고 번역한 책으로 『화엄경(한글)』(전 10권), 『화엄경(한문)』(전 4권), 『금강경 오가해 』 등이 있다. 현재 80권 『대방광불화엄경 강설』을 집필 중에 있다.


목차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42 


二十七. 십정품 3 


5. 열 가지 큰 삼매를 설하다 

8) 일체중생차별신 대삼매 

(1) 삼매에 머물면 열 가지 집착이 없게 된다 

(2) 삼매에 들고 삼매에서 일어남 

1> 몸과 몸에서 들고 일어나다 

2> 육취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3> 하나와 많은 몸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4> 사주세계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5> 사대종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6> 여러 세계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7> 많고 많은 중생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8> 육근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9> 갖가지 종류에서 서로 들고 일어나다 

10> 비유로써 밝히다 

(3) 삼매의 이익을 밝히다 

1> 열 가지 칭찬하는 법으로 칭찬하다 

2> 열 가지 광명을 얻어 비추게 되다 

3> 열 가지 지을 것 없음을 얻다 

(4) 한량없는 경계의 가지가지 차별 

(5) 경계의 자재함을 여섯 가지로 비유하다 

(6) 열 가지 신통의 피안에 이르다 

9) 법계자재 대삼매 

(1) 삼매의 이름과 들어가는 곳 

(2) 삼매의 공용을 밝히다 

(3) 삼매의 이익을 밝히다 

1> 21종의 십천억 이익 

2> 열 가지 공덕이 있다 

3> 모든 부처님께서 섭수하는 이익 

4> 모든 부처님이 보호하고 염려해 주는 이익 

5> 열 가지 바다를 얻는 이익 

6> 열 가지 수승함을 얻는 이익 

7> 열 가지 힘을 얻는 이익 

8> 능히 잘하는 이익 

9> 열 가지 변제를 설할 수 없는 이익 

10> 열 가지 다 설할 수 없는 것의 이익 

11> 한량없는 모든 삼매를 다 아는 이익 

(4) 비유를 들어 밝히다 

(5) 비유에 대하여 열일곱 가지 문으로 합하여 밝히다 

(6) 두 가지 행에 걸림이 없음을 나타내어 맺다 

부언... 영명영수 선사의 <만선동귀중도송萬善同歸中道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