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불교의 언어에 대해 다루는 『열반, 그리고 표현불가능성』. 서양철학, 인도전통사상, 불교사상을 편력하면서 표현불가능성과는 어떤 관련도 가지지 않는 초기불교의 표현가능성의 관점을 열반이라는 불교의 종교적 목적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종교철학서이자 언어철학서로, 동ㆍ서양 철학자들과 신학자들이 주장하는 표현불가능성에 관한 모든 이론을 분석하고 그것에 대한 불교의 반론을 건네고 있다. 또한 초기불교경전에 초점을 맞춰 모든 표현불가능성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붓다의 실천적 관점을 고찰하여 초기불교의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태도를 내세운다.


목차

감사의 말씀 

깔루빠하나 서문 

한국의 독자들에게 

옮긴이의 글 



1장. 서론 

언어와 실재/ 종교에 대한 초월적 해석과 그 근본적 주장/ 용어와 자료/ 연구방법 


2장. 표현불가능성의 명제 

서언/ “표현불가능”의 정의/ 표현불가능성이라는 명제 


3장. 역사적 배경 

종교철학적 견해들/ 언어에 관한 두 가지 견해 


4장. 연기론 


5장. 초기불교의 실재에 관한 설명 

시대별 개관/ 실재에 대한 분석 




6장. 불교의 종교체험인 열반의 성격 

서언/ 열반, 믿음, 가피/ 해탈도/ 열반인식/ 무분별적 동일성과 열반/ 초기불교의 해결책/ 초월과 열반/ 결어/ 


7장. 초기불교의 비초월적 언어철학 

서언/ 언어: 실재의 측면/ 불교언어철학의 실증주의적·유명론적·회의론적 경향/ 말과 사고로서의 언어: 윤리적 측면/ 말과 사고로서의 언어: 인식론적 측면 


8장. 붓다의 침묵과 표현불가능성 

서언/ 무기/ 초월적 해석/ 초기불교의 침묵/ 무기의 질문에 대한 붓다의 대답/ 결어 


9장. 사구부정과 표현불가능성 

서언/ 사구논리에 대한 초월적 해석: 두 가지 예/ 사구논리의 비초월적 해석/ 결어 


10장. 붓다의 직·간접적 가르침 

양립불가능한 ‘언어들’/ 교수법상의 필요 


11장. 결론 

초월성과 표현불가능성/ 불가지성/ 불교에서의 초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