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낭월 박주현 스님의 「시시콜콜 명리학」 시리즈 제5권 『간지』. 사주를 본다는 것은 간지 22글자 중에서 선택된 천간의 네 글자와 지지의 네 글자를 보고 종합적으로 길흉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 책은 오행의 음양인 천간과 천간의 변화인 지지가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지를 살펴서 그 의미를 파악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저자소개

1957년 경북 청도 출생. 스님이자 명리 연구가이다. 지은 책으로는 명리학 총론이라고 할 수 있는 '왕초보 사주학'과 각론인 '알기 쉬운 음양오행', '천간지지', '합충변화', '용신분석', 명리학 최고의 경적인 '적천수'를 정리한 '적천수 강의', 사이버공간에서 명리애호가들과 주고받은 문답을 엮은 '사주문답', 사주 용어를 체계적으로 해설한 '낭월 사주용어사전' 등이 있다. 충남 논산 감로사 주지 스님이다. 인터넷 홈페이지 '낭월명리학당'을 운영하였다.



목차

干支편을 시작하며 



제1장 適天髓 十干論 


1. 甲木 


2. 乙木 


3. 丙火 


4. 丁火 


5. 戊土 


6. 己土 


7. 庚金 


8. 辛金 


9. 壬水 


10. 癸水 


11. 天干의 정리(整理) 



제2장 간합론(干合論) 


1. 干合의 원리(原理) 

1) 干合의 구조 

2) 合하면 化하는가? 

3) 合의 길흉(吉凶) 

4) 合이라는 글자를 사용하는 낱말들 

5) 合은 집착(執着)이다 

6) 合의 이론적(理論的) 성립여부 

7) 황제내경의 오운론(五運論) 

8) 六合七剋 

9) 干支도 合한다 


2. 甲己合 

1) 甲木이 己土를 필요로 하는 이유 

2) 己土가 甲木을 필요로 하는 이유 


3. 乙庚合 

1) 乙木이 庚金을 필요로 하는 이유 

2) 庚金이 乙木을 필요로 하는 이유 


4. 丙辛合 

1) 丙火가 辛金을 필요로 하는 이유 

2) 辛金이 丙火를 필요로 하는 이유 


5. 丁壬合 

1) 丁火가 壬水를 필요로 하는 이유 

2) 壬水가 丁火를 필요로 하는 이유 


6. 戊癸合 

1) 戊土가 癸水를 필요로 하는 이유 

2) 癸水가 戊土를 필요로 하는 이유 


7. 암합(暗合) 



제3장 통근론(通根論) 


1. 통근(通根)의 의미(意味) 

1) 五行의 地支 통근(通根) 

2) 五行의 天干 통근(通根) 


2. 통근(通根)의 비율(比率 

1) 日支 - 앉은자리의 힘 

2) 고지(庫支)의 특수성 - 고근(庫根) 

3) 月支 - 계절의 상황(狀況) 

4) 時支 - 미래의 협조자(協助者) 


3. 上下左右의 통근(通根) 

1) 左右 - 협력관계(協力關係) 

2) 上下 - 표리관계(表裏關係) 

3) 세력 - 전국(全局)의 상황(狀況) 


4. 통근(通根)의 변수(變數 

1) 天干의 처리 문제 

2) 天干에서 힘의 득실(得失) 차이 

3) 年月과 日時의 대결(對決) 



제4장 간지잡론(干支雜論) 


1. 잡론(雜論)의 의미(意味) 


2. 육충론(六沖論) 

1) 子午沖 

2) 卯酉沖 

3) 寅申沖 

4) 巳亥沖 

5) 辰戌沖 

6) 丑未沖 


3. 삼형론(三刑論) 

1) 寅巳刑 

2) 巳申刑 

3) 丑戌刑 

4) 戌未刑 

5) 子卯刑 

6) 自刑 


4. 간충론(干沖論) 

1) 甲庚沖 

2) 乙辛沖 

3) 丙壬沖 

4) 丁癸沖 


5. 육합론(六合論) 

1) 子丑合 

2) 寅亥合 

3) 卯戌合 

4) 辰酉合 

5) 巳申合 

6) 午未合 


6. 삼합론(三合論) 

1) 亥卯未의 이해(理解) 

2) 寅午戌의 이해(理解) 

3) 巳酉丑의 이해(理解) 

4) 申子辰의 이해(理解) 


7. 방합론(方合論) 

1) 寅卯辰 - 동방(東方) 

2) 巳午未 - 남방(南方) 

3) 申酉戌 - 서방(西方) 

4) 亥子丑 - 북방(北方) 


8. 육해론(六害論) 

1) 子未害 

2) 丑午害 

3) 寅巳害 

4) 卯辰害 

5) 申亥害 

6) 酉戌害 


9. 육파론(六破論) 

1) 子酉破 

2) 丑辰破 

3) 寅亥破 

4) 卯午破 

5) 巳申破 

6) 戌未破 


10. 공협론(拱夾論) 


11. 허자론(虛字論) 


12. 명궁론(命宮論) 


13. 태원론(胎元論) 


14. 납음론(納音論) 


15. 삼재론(三災論) 


16. 신살론(神殺論) 

1) 신살(神殺)은 양념이다 

2) 신살(神殺)에 빠지지 말라 


17. 공망론(空亡論) 

1) 공망(空亡)의 공식(公式) 

2) 공망의 글자가 있으면 공망이다? 

3) 순(旬)의 허구성(虛構性) 

4) 공망(空亡)은 공망일 뿐 

5) 절로공망(截路空亡) 

6) 사대공망(四大空亡) 


■ 간지편을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