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학과 미술평론』은 고유섭의 미학, 미술평론 관계된 23편의 글을 엮은 책이다. 경성제국 대학 졸업 논물을 시작으로 미학 관계 글 7편, 고대 미술ㆍ현대미술ㆍ건축예술ㆍ향토예술ㆍ불교미술 등 다양한 주제의 미술평론 글과 한국의 화가들에 과한 작가론 등 16편을 수록하고 있다.


저자소개

1905 경기도 인천 출생. 1918 인천공립보통학교 졸업. 1925 경성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1930 경성제국대학 졸업. 1931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 발표. 1932 '조선 탑파 개설' 발표. 1933 개성부립박물관 관장 취임. 1934 '우리의 미술과 공예', '조선 고적에 빛나는 미술 발표'. 1935 '고려화적에 대하여' 발표. 1936 이화여전, 연희전문으로 출강. '고구려 쌍영총' 발표. '조선탑파의 연구'를 '진단학보'에 연재. 1939 '조선의 청자' 출간. 1940 '조선 미술문화의 몇낱 성격', '인재 강희안 소고', '인왕제색도 정겸재 소고' 발표. 1941 '고려도자와 조선도자',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 발표. 1943 일본 문부성 주최로 열린 '일본제학연구대회'에서 '조선탑파의 양식 변천' 발표. 1944 간경화로 별세.


목차

『美學과 美術評論』 발간에 부쳐 열화당 

解題?고유섭 학문의 위치, 그리고 그의 미학 이인범 


제I부 美學 

예술적 활동의 본질과 의의 

미학의 사적(史的) 개관(槪觀) 

미학개론(美學槪論) 

형태미(形態美)의 구성 

현대미(現代美)의 특성 

말로의 모방설 

유어예(游於藝) 


제II부 美術評論 

신흥예술(新興藝術) 

러시아의 건축 

「협전(協展)」 관평(觀評) 

현대 세계미술계의 귀추 

미(美)의 시대성과 신시대(新時代) 예술가의 임무 

동양화와 서양화의 구별 

고대미술 연구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을 것인가 

향토예술의 의의와 그 조흥(助興) 

미술의 한일교섭(韓日交涉) 

불교미술에 대하여 

승(僧) 철관(鐵關)과 석(釋) 중암(中庵) 

고개지(顧愷之) 

오도현(吾道玄) 

안견(安堅) 

안귀생(安貴生) 

윤두서(尹斗緖) 


주(註) 

어휘풀이 

수록문 출처 

고유섭 연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