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의 말 = 3 

지은이의 말 = 10 

제1장 종교 다원주의와 유태교 = 15 

1.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성서의 반응 = 16 

2. 고전 유태교와 중세 유태교의 반응 = 20 

3. 현대 유태교의 반응 = 24 

4. 결론 = 37 

제2장 종교 다원주의와 기독교 = 39 

1. 신약 성서와 다른 종교들 = 43 

2. 초기 기독교와 다른 종교들 = 49 

3. 초대 교부들의 기독론 = 53 

4. 중세기의 기독교와 이슬람 = 57 

5. 현대 기독교와 타종교들과의 만남 = 58 

6. 최근의 이론들 = 64 

(1) 신중심적 접근 방법 = 65 

동방정교회 신학 = 66 

폴 틸리히 = 68 

존힉 = 70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 = 74 

(2) 그리스도 중심적 접근 방법 = 83 

복음주의 신학자들 = 84 

칼 라너 = 89 

(2) 대화를 통한 접근 방법 = 91 

스텐리 사마르타 = 92 

라이문도 파니카 = 94 

7. 요약과 결론 = 101 

제3장 종교 다원주의와 이슬람 = 105 

1. 이슬람이 다른 신앙과 만나게 되었던 역사적인 과정 = 107 

2. 단일성과 "경전을 가진 사람들" = 110 

3. 이슬람과 서구의 종교들 = 114 

4. 이슬람과 동양의 종교들 = 122 

5. 현대 이슬람의 투쟁적인 반응들 = 131 

6. 결론 = 134 

제4장 종교 다원주의와 힌두교 = 139 

1. 고전 시기 = 141 

2. 힌두교와 이슬람의 만남 = 151 

3. 힌두교인과 시크교인 = 155 

4. 힌두교와 기독교 = 157 

5. 힌두교와 세속 인도 = 169 

6. 결론 = 172 

제5장 종교 다원주의와 불교 = 175 

1. 초기 불교와 다른 종교들 = 176 

2. 대승 불교와 다른 종교들 = 189 

제6장 종교 다원주의와 종교의 미래 = 199 

1. 종교 다원주의: 그 현황 = 201 

(1) 공통되는 논리: 하나와 다수 = 201 

(2) 도구로서의 종교 = 203 

(3) 평가 기준의 부과 = 205 

2. 종교의 미래 = 211 

(1) 미래의 신학과 다원주의의 한계점 = 212 

(2) 종교간의 대화의 미래 = 219 

이름찾기 = 227 

내용찾기 =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