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 김두진의 『신라하대 선종사상사 연구』. 780년 선덕왕이 왕위에 오른 때부터 935년 경순왕이 왕위에서 물러날 때를 뜻하는 신라하대(新羅下代)에는, 지방호족이 등장함으로써 중앙으로 집결된 민족문화가 지방으로 확산되었으며, 고대사회가 붕괴하고 중세사회가 떠오르는 사회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책은 그러한 신라하대의 선종사상사를 연구하고 있다. 선종사상의 흐름을 당시의 사회변화와 연결하여 이해함으로써, 선종사상사를 넘어서 한국불교사의 체계를 구축하려는 의도를 담았다. 양장본.


저자소개

김두진
경상남도 진주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사학과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사교육과 조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均如華嚴思想硏究>(일조각, 1983), <義湘 그의 생애와 화엄사상>(민음사, 1995), <韓國古代의 建國神話와 祭儀>(일조각, 1999), <신라화엄사상사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고려전기 교종과 선종의 교섭사상사 연구>(일조각, 2006)이 있고, 역서로 <原始宗敎論>(탐구당, 1976) 등이 있고, 그 밖에 불교사와 관련된 다수의 논문이 있다.


목차

머리말 5

제1장_ 서론
1. 나말려초 선종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13
(1) 나말려초 선종사 연구의 성과 13
(2) 나말려초 선종사 연구의 과제 29
2. 이 책에서 밝히려는 문제 39

제2장_ 신라하대 선종 산문의 정립과 북종선·남종선 문제
1. 신라하대 선종 산문의 정립과 사상 49
(1) 북종선의 전래와 남종선의 도입 49
(2) 선종 유행의 사회적 기반 53
(3) 선종 산문의 정립 58
(4) 선종사상의 경향 70
2. 진감선사 혜소의 선종사상과 탑비의 건립 73
―북종선과 남종선의 수용과 연관하여―
(1) 진감선사대공탑비의 내용과 신라 사회 73
(2) 혜소의 정치·사회적 입장 81
(3) 혜소의 유심선사상 90
(4) 진감선사비 건립의 의미 98

제3장_ 신라하대 선종 산문의 세력 기반
1. 신라하대 선종 산문의 사회경제적 기반 107
(1) 선종 산문의 규모 107
(2) 선종 산문의 토지 113
(3) 단월의 산문 경영 129
2. 신라하대 선사들의 중앙왕실 및 지방호족과의 관계 136
(1) 신라하대 선사들의 신분 136
(2) 중앙왕실과의 관계 146
(3) 지방호족과의 관계 157

제4장_ 조사선의 수립과 개인주의적 사상 경향
1. 도의의 남종선 도입과 그 사상 169
(1) 도의의 행적 169
(2) 진전사의 개창과 남종선의 도입 176
(3) 도의의 선종사상 184
(4) 신라말 도의계 선종사상의 추이 196
2. 낭혜 무염과 그의 선종사상 205
(1) 무염의 사회적 지반 205
(2) 무염의 선종사상 227

제5장_ 선종 산문의 교종사상에 대한 관심
1. 굴산문의 형성과 그 사상 249
(1) 굴산문의 형성 249
(2) 범일과 그 문도의 사상 277
(3) 굴산문의 사상 283
(4) 굴산문의 한국불교사적 위치 292
2. 동리산문의 성립과 그 사상 301
―풍수지리사상에 대한 재검토―
(1) 동리산문의 성립 301
(2) 산문의 규모와 단월 315
(3) 동리산문의 사상 325
(4) 동리산문의 사상사적 의의 338

제6장_ 선종 산문의 종계 및 사상의 변화
1. 희양산문의 사상과 종계의 변화 355
(1) 희양산문의 성립 355
(2) 희양산문의 사상 367
(3) 희양산문의 종계 변화와 그 의미 384
2. 신라하대 선종사상의 전래와 그 변화 397
(1) 북종선사상 경향의 도입 397
(2) 남종선사상의 전래 403
(3) 선종사상의 변화 415

제7장_ 결론 431

참고문헌 455
찾아보기 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