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기발한 비유와 다양한 우언을 통해 사람들에게 정신의 자유와 발상의 전환을 가능하게 해 준 장자. 현실과 인위에 대해 부정적이고, 자연을 내세우며 초월을 강조한 장자는 자신의 저서 <장자>를 통해 중국 문화사상 유가(儒家)의 폐단인 형식적이고 자유롭지 못한 구속을 깨고 현상과 사물을 새롭게 보는 눈을 뜨게 해주었다.『장자 : 외편』은 중문과 교수인 김창환이 <장자>를 현대적으로 알기 쉽게 풀이한 책이다.


저자소개

장자

저자 장자(莊子, BC 369?~BC 286?) 는 성은 장(莊)이고 이름이 주(周)이며 자는 자휴(子休)이다. 『사기(史記),장주열전(莊周列傳)』에 의하면, 장자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송(宋)나라 몽(蒙) 지역 출신으로, 맹자(孟子)와 비슷한 시기인 양혜왕(梁惠王), 제선왕(齊宣王) 시대에 활동한 것으로 전해지지만 생졸년에 대해서는 이설이 많다. 젊어서는 칠원(漆園)에서 말단 관리로 일한 적도 있었으나 이후 자유분방한 성격으로 평생 벼슬하지 않았다. 초(楚)나라 위왕(威王)이 그를 재상으로 맞아들이려 하였으나 사양하였다.
그가 지은 『장자』는 원래 52편(篇)이었다고 하는데, 진대(晉代)의 곽상(郭象)이 산정(刪定)한 33편(내편 7, 외편 15, 잡편 11)이 지금까지 전해진다. 장자는 노자(老子) 사상을 계승하여 도(道)를 일체 존재의 기본 원리로 삼았지만 시대 상황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즉 현실(現實)과 인위(人爲)에 대해 훨씬 부정적이고 따라서 더욱 자연(自然)을 내세우고 초월(超越)을 강조하였다.
당(唐)의 제8대 황제인 현종(玄宗)은 장자(莊子)를 높여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는 호를 추증하였고, 『장자(莊子)』를 『남화진경(南華眞經)』으로 높여 장자의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목차

머리말

8. 붙은 발가락[변무(騈拇)]
9. 말의 발굽[마제(馬蹄)]
10. 상자를 열다[거협]
11. 있는 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다[재유(在宥)]
12. 하늘과 땅[천지(天地)]
13. 하늘의 도[천도(天道)]
14. 천도(天道)의 운행[천운(天運)]
15. 뜻을 가다듬다[각의(刻意)]
16. 본성을 닦다[선성(繕性)]
17. 가을의 빗물[추수(秋水)]
18. 지극한 즐거움[지락(至樂)]
19. 생명에 대한 깨달음[달생(達生)]
20. 산중(山中)의 나무[산목(山木)]
21. 위(魏)문후(文候)의 스승 전자방[전자방(田子方)]
22. 지(知)가 북쪽으로 유람하다[지북유(知北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