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현대사회와 불교』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구조와 생활양상 속에서 다양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 책은 현대사회에서 빈번하게 야기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 총 2부로 구성되어 제1부 ‘일본 현대사회와 불교’에서는 저출산화, 고령화, 고독사 등 사회현상과 동일본대지진,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 사고에 대해 살펴보고 그에 대한 불교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2부에서는 자살, 배아복제, 생사관의 부재 등 한국의 사회문제에 대한 불교적 대안을 제시한다.

목차

ㆍ 간행사
ㆍ 서문
제1부 일본 현대사회와 불교
ㆍ 현대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 ‘참여불교(Engaged Buddhism)'를 둘러싼 논의 / 모토야마 고우쥬(元山 公?)
ㆍ 불교와 현대 일본의 사회현상에 대하여 / 오오츠카 노부오(大塚 伸夫)
ㆍ 불교와 터미널 케어 - 부처의 구제를 둘러싸고 / 소네 노부오(?根 宣雄)
ㆍ 교화의 바람직한 미래상 / 간다츠 지준(神達 知純)
ㆍ 불교에 사회성은 있는가 / 19세기 동아시아의 예수교 배척론(排耶論)을 중심으로 / 미우라 슈(三浦 周)
ㆍ 외래 불교의 일본 진출에 관한 고찰 / 호시노 소(星野 ?)
ㆍ 지역변동과 불교사원 - 특히 ‘과소화(過疎化)’가 사원에 끼친 영향 / 나와 기요타카(名和 ?隆)
ㆍ 지방 사원 활동에서의 보살사상에 관하여 / 스즈키 교겐(鈴木 行賢)

제2부 한국 현대사회와 불교
ㆍ 21세기의 불교 / 정병조
ㆍ 화엄학으로 본 통섭(通攝)의 실천 / 김천학
ㆍ 불교 윤회설(輪回說)이 현대사회에서 갖는 의의 / 최기표
ㆍ 불교적 생명관에서 바라본 배아복제 문제 / 하유진
ㆍ 오래된 실천행 인욕바라밀의 현대적 조명 / 최은영
ㆍ 불교와 자살문제-분신자살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차상엽
ㆍ 타(他)종교에 대한 『법화경』의 입장 / 하영수
ㆍ 현대사회에서 불교도의 개인윤리에 대하여 / 이영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