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 十牛圖를 공부하기 위한 전제로 선(禪)의 역사와 근본 뜻을 서술하고, 부록으로 선종의 중요 선지식에 대한 인명록을 첨부했다. 아울러 십우도 및 심우도의 저자와 10단계의 수행과정을 그림과 선시(禪詩)를 중심으로 숨은 뜻과 마음공부의 요체, 어구 풀이 등을 시도했다. 오늘날, 선(禪)에 대한 기초지식 없이 앉기만 하는 좌선(坐禪) 위주의 이른 바 ‘앉은뱅이 선(禪)’에서 벗어나 행주좌와 어묵동정(행주좌와 어묵동정) 가운데 활발발하게 살아있는 일상선(日常禪), 생활선(生活禪)의 지침서로 손색이 없도록 편집했다.


저자소개

조광호

저자(역해) 조광호(曺廣鎬)는
1945년 서울 출생.
1969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영학과 졸업.
LG전자, 한국오므론전장(주) 대표이사 역임.
현재, 일본에 거주하면서 선(禪)과 불교 역사를 공부하고 있다.

목차

서문 : 십우도란 무엇인가
제1장. 선(禪), 어떻게 이해하여 하나
제2장. 곽암의 십우도
1. 총설
2. 십우도해설
1) 심우(尋牛): 소를 찾다
2) 견적(見跡): 발자국을 보다
3) 견우(見牛): 소를 보다
4) 득우(得牛): 소를 얻다
5) 목우(牧牛): 소를 기르다
6)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다
7) 도가망우(到家忘牛): 집에 돌아와 소를 잊다
8) 인우구망(人牛俱忘): 소와 사람 모두 잊다
9) 반본환원(返本還元): 본래의 근원에 돌아가다
10) 입전수수(入?垂水): 손을 드리우고 저자에 들어가다

제3장. 보명의 목우도
1. 보명의 전기
2. 목우도 해설
1) 미목(未牧): 아직 기르지 않다
2) 초조(初調): 처음으로 다스리다
3) 수제(受制): 규제를 받다
4) 회수(廻首): 머리를 돌리다
5) 순복(馴伏): 길들여지다
6) 무애(無碍): 걸림이 없다
7) 임운(任運): 흐르는대로 맡기다
8) 상망(相忘): 서로 잊다
9) 독조(獨照): 홀로 비추다
10) 쌍민(雙泯): 소, 사람 다 사라지다

제4장. 중국의 선
부록(인명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