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 불교사상의 전개과정을 살핀 연구서. 불교의 법신론,경세사상, 남북조시대의 불교사상과 신유학을 살피고 삼국과 통일신라 시대의 불교사상부터 조선시대 김시습의 천태사상, 조선후기의 불교까지 각 사상의 관법과 의미 등을 고찰.


목차

001. <1> 서편
002. 불교의 법신론
003. 불교의 경세사상
004. 남북조 시대의 불교사상과 신유학
005. <2> 삼국과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006. 백제의 불교사상
007. 원효의 화정사상
008. 의상의 화엄사상
009. 원측의 유식사상
010. 선사상의 전래와 수용
011. 최치원의 불교관
012. <3>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013. 고려의 불교사상
014. 제관의 천태사교의의 특성
015. 정몽주의 불교관
016. <4>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017. 조선 전기의 불교철학
018. 조선전기의 불교
019. 김시습의 화엄, 선사상
020. 김시습의 천태사상
021. 조선중기의 불교
022. 조선후기의 불교
023. 백용성의 대각교 사상
024. '육조단경'과 박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