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금강대도 종리학을 연구한 책. 객관적인 입장에서 금강대도를 바라본 저자의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저자는 대를 이어 신앙하여 체험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금강대도 종리학의 근원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 있다. 금강대도 백년사, 삼교합일 유형, 오중운도 사상과 새시대의 비전, 이토암 선생의 도덕개화 사상, 생태 윤리 사상, 건곤부모 신앙과 생태여성주의 등을 다루었다.


목차

책 머리에
격려사

Ⅰ.금강대도 개관
1.연혁
2.신앙 대상
3.교리
4.의례
5.조직과 운영
6.기타 특징

Ⅱ.금강대도 백년사
1.들어가는 말
2.대성적
3.도성적
4.덕성적

Ⅲ.금강대도의 삼교합일 유형
1.서론
2.삼교합일의 전통적 유형
3.금강대도의 성립
4.금강대도 삼교합일의 제측면
5.금강대도 삼교합일 유형의 특징
6.결론

Ⅳ.금강대도의 오중운도 사상과 새시대의 비전
1.시작하는 말
2.한국 신종교 후천개벽사상의 비판저 검토
3.금강대도의 도덕개화와 오중운도사상-미래적 관점
4.끝맺는 말

Ⅴ.이토암 선생의 도덕개화 사상
1.들어가는 말-민족사의 고통을 함꼐 한 토암의 생애
2.시대적 모순에 대한 토암의 진단과 처방
3.토암의 도덕관
4.도덕개화와 신도설교
5.끝맺는 말

Ⅵ.금강대도의 생태 윤리 사상
1.시작하는 말
2.생태 윤리와 종교적 영성
3.천지인 삼재의 세계관과 건곤부모 신앙
4.도덕성 개화와 오중 평등 사상
5.심성신 삼합의 수련과 실천
6.끝맺는 말

Ⅶ.금강대도의 건곤부모 신앙과 생태여성주의
1.들어가는 말
2.일원론적인 생태주의 세계관
3.외계적 사회구조와 생태계의 위기
4.돌봄의 윤리와 여성의 신성 운동
5.자연과 여성의 연결문제

Ⅷ.1970년대 이후 한국 신종교의 현황과 전망
1.시작하는 말-문제지기
2.1970년대 이후 한국 신종교의 전개과정
3.신종교 연구상의 쟁점
4.끝맺는 말-전망과 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