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승 경전의 선 사상』에서는 『금강경』, 『법화경』, 『유마경』, 『화엄경』, 『열반경』, 『능가경』이라는 대승 경전의 가장 대표적인 경전들 속의 선 사상을 찾아 보고 각 학파에서는 그러한 선 사상을 어떻게 수용하고 활용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저자소개

정운

저자 정운은 1982년 명우 스님을 은사로 서울 성심사에 출가하였다. 운문승가대학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년 간 미얀마 판디타라마 명상 센터와 쉐우민 명상 센터에서 비팟사나 수행을 했다. 현재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종단의 교육과 연구를 전담하는 교육아사리의 소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명상, 마음 치유의 길』, 『동아시아 선의 르네상스를 찾아서』, 『경전 숲길-한 권으로 읽는 경전』, 『허운-중국 근현대 불교의 선지식』, 『구법-선의 원류를 찾아서』, 『환희-중국 사찰 기행1』, 『떠남-중국 사찰 기행2』, 『맨발의 붓다』 등이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면서 … 4

제1장 『금강경』의 선관 ........................................ 9
1. 무상, 무주, 무아, 즉비 논리와 『금강경』............ 11
2. 『금강경』의 해제와 특징 ................................. 13
3. 『금강경』과 선종 ............................................. 16
4. 『금강경』의 선관 ............................................. 32
5. 번뇌를 깨뜨리는 지혜 ..................................... 61

제2장 『법화경』의 선관과 일승 사상 ..................... 65
1. 보살과 삼승 ................................................... 67
2. 『법화경』의 구성과 의의 ................................... 69
3. 『법화경』의 선관 ............................................ 72
4. 중국 선사들의 『법화경』 수용 .......................... 100
5. 일승과 작불 사상 ........................................... 106

제3장 『유마경』의 선관 ....................................... 109
1. 『유마경』의 비판 정신 ..................................... 111

2. 『유마경』의 해제와 불교사적 위치 .................... 112
3. 『유마경』의 선관 ............................................ 118
4. 『유마경』과 선종 ............................................ 133
5. 공의 실천과 불이 법문 ................................... 146

제4장 『화엄경』의 선관 ....................................... 149
1. 깨달음의 토대 ............................................... 151
2. 『화엄경』의 의의 ............................................ 153
3. 『화엄경』의 선관 ............................................ 157
4. 선과 화엄 사상 .............................................. 171
5. 성기와 유심 사상 ........................................... 176

제5장 『열반경』의 선관과 불성 사상 ..................... 179
1. 일체 중생이 성불할 수 있는 근거.. ................... 181
2. 『열반경』 해제 ............................................... 183
3. 『열반경』의 불교사적 위치 ............................... 185
4. 『열반경』의 선관 사상 ..................................... 195
5. 중국 초기 선종 선사들의 불성 사상 수용........... 211
6. 법신 상주와 불성 사상 ................................... 215

제6장 『능가경』의 선관과 자각 성지 ..................... 219
1. 깨달음의 근원 ................................................ 221
2. 『능가경』의 해제와 불교사적 위치...................... 222
3. 『능가경』의 선관 ............................................. 225
4. 중국 초기 선종과 『능가경』 .............................. 242
5. 유식과 공 사상 ............................................... 247

부록 ................................................................... 249
주석 ................................................................... 250
참고 문헌 ........................................................... 283
찾아보기 .............................................................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