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본서는 양나라 혜교의 <고승전>에 담긴 선 용어를 분석하여 달마 이전의 중국 선사상을 밝혀내고 있다. ‘선종’이라는 종파적 의식이 가미되지 않은 선 수행법, 순수 체험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선적인 용어와 문구들을 <고승전>에서 찾아서 분석하고 있는 본서를 통해 더욱 쉽고 명확하게 선어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형운스님

1982년 도문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으며, 삼선승가대학과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阿賴耶識의 轉依와 五相 硏究〉로 석사학위를, 선학과에서 〈高僧傳의 禪法硏究-禪語 分析을 통하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의 교육아사리 소임을 맡고 있다.주요 논문으로는「〈고승전〉의 선정 및 삼매에 대한 분석적 고찰」, 「〈고승전〉에 나타난 ‘行儀’용어 분석」, 「〈고승전〉에 나타난 ‘참회’의 실천연구」, 「고역(古譯) 경전에 나타난 ‘참회’용어의 번역과 정착 과정」,「구마라집 역경에 나타난 ‘참회’용어의 분류와 분석」, 「고역(古譯) 및 구역(舊譯) 불경에 나타난 ‘오(悟)’의 연원 규명」이 있다.


목차

추천사 법산 스님
추천사 학문을 통한 아름다운 인연/ 신규탁
책머리에

제1장『고승전』의 찬술(撰述) 배경과 그 의의
1. 혜교의 생애와『고승전』의 성립 과정
2.『고승전』의 의의와 영향
3. 승문(僧門) 분과의 내용과 전법정신

제2장 초기 중국불교의 '선(禪)' 이해
1. '선어(禪\語)'로 본 선의 함의
2. 초기 중국불교에서 '선(禪)'과 '정(定)'의 차이
3.『고승전』의 돈오론(頓悟論)
4.『고승전』의 삼매론(三昧論)

제3장 선법(禪法)과 선문화(禪文化)
1. 선법(禪法)의 내용
2. 좌(坐)의 문화
3. 습선자(習禪者)의 행위(行爲)
4. 선자(禪者)에 대한 호칭과 수행 공간

부록 참회의 연원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