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계종사-근·현대편』에 이어, 한국불교의 역사와 궤적을 함께 하는 조계종의 역사를 연구한 책. 삼국시대의 불교의 수용에서부터 조계종의 창시자인 도의국사와 고려시대의 지눌국사, 조선 후기 불교계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고대, 중세를 아우르는 한국 불교의 흐름을 선종의 입장에서 선교일치를 주창한 조계종에 중점을 두어 파악하고 있다.


저자소개

김용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도쿄대학 대학원에서 인도철학불교학과에서 공부했다.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 교수이다.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조계종의 승려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산하에 불학연구소를 두고 종단관련 교재 발간 및 일반인을 위한 불서개발 등에 진력하고 있다.


목차

총설. 조계종사의 범주와 서술 내용

(1)종조·중흥조와 법통인식
(2)시대 구분과 주요 서술 내용
(3)수행 및 신앙 전통

Ⅰ.불교의 수용과 발전

1.삼국시대의 불교 수용과 발전
(1)고구려
(2)백제
(3)신라
(4)가야

2.통일신라와 발해의 불교
(1)교학의 융성
(2)통일신라시대의 불교신앙
(3)발해의 불교

Ⅱ.선의 전래와 조계종의 성립

1.선의 전래
(1)중국 선종의 형성과 발전
(2)선의 전래

2.종조 도의국사와 조계종의 성립
(1)도의국사의 생애와 사상
(2)조계종의 성립

3.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1)구산선문 형성의 사회적 배경
(2)각 산문의 형성 과정과 전개 모습
(3)구산선문의 선풍과 선사의 위상

Ⅲ.조계종의 발전과 사상적 특성

1.고려초기의 조계종
(1)고려 초기의 숭불 정책과 불교의 발전
(2)교학불교의 상황
(3)조계종의 발전과 새로운 선 사상의 도입

2.고려 중기의 조계종
(1)천태종 개창과 조계종의위기
(2)새로운 선풍의 도입과 조계종

3.지눌과 선풍의 진작
(1)지눌과 수선사
(2)지눌의 선 사상
(3)중흥조로서의 위상

4.고려 후기의 조계종
(1)지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