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천명리 격과 그릇』은 음양오행 사주 비결서로 음양의 세계와 인간의 운명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간의 길흉화복을 보는 것은 음양오행의 자연스러운 순환과 교환이 잘 일어나는지 아닌지를 보는 것이라 말하며 음양오행의 기본 틀 속에서 삶에 대해 제대로 이야기 해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자소개

덕연

저자 덕연은
서울 출생
서라벌대학 풍수명리학과 교수 역임
덕연 철학원장
덕연 풍수명리학회장
지천명 커뮤니케이션즈 설립
인터넷 홍익TV 구성학, 명리학 강사,
현공풍수학 강사
다음 N-사주카페지기
(http://cafe.daum.net/nsaju)
전공학문: 명리학, 현공풍수학, 구성학, 육효학, 성명학 등


목차

책을 열며 · 6

제 1 장 음양오행(陰陽五行) 오운육기(五運六氣)
1. 동양철학의 개관 · 19
2. 음양의 발생 · 24
3. 음양(陰陽)의 표리부동 · 26
4. 오행(五行) · 28
5. 오행(五行)의 규합 · 53
6. 오운육기(五運六氣)의 이해 · 61

제 2 장 육십갑자(六十甲子)
1. 육십갑자(六十甲子)란? · 83
2. 육십갑자의 변화 · 161

제 3 장 격(格)과 그릇의 이해
1. 격(格)과 그릇의 이해 · 169
2. 그릇의 청탁(淸濁) · 178
3. 그릇의 대소(大小) · 187
4. 일간의 왕쇠강약 · 195
5. 격(格)의 구성 · 202
6. 육친적인 격의 구성 · 210
7. 생(生), 왕(旺), 묘(墓) 글자들의 특징 · 243
8. 천간과 지지의 관계 · 259

제 4 장 격(格)의 변화원리
1. 격의 변화 · 269

제 5 장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원리
1. 오행의 생극제화 · 287
2. 육친의 생극제화 · 294
3. 음간과 양간의 생극제화 · 300
4. 이원적 세계 · 310

제 6 장 없는 것(無字)과 많은 것(多字)
1. 글자가 없다(無字論) · 318
2. 특정 오행이 없는 경우 · 320
3. 특정 육친이 없는 경우 · 323
4. 허자론(虛字論) · 326
5. 없는 것에 대한 해석의 중요성 · 328
6. 많은 것에 대한 해석(多字法) · 330
7. 특정 육친이 많은 경우 · 332

제 7 장 근묘화실(根苗花實)론
1. 근묘화실론(根苗花實)의 이해 · 341
2. 원국에서 합충의 이해 · 348
3. 근묘화실적 음양오행 · 353
4. 육친의 근묘화실 · 354
5. 근묘화실적 선용관계 · 374
6. 근묘화실로 보는 지장간 · 375

제 8 장 실제 그릇 해설 · 381

제 9 장 에필로그
1. 음양의 세계와 인간의 운명 · 411
2. 정신과 감정 그리고 육체의 조화 · 415
3. 운명의 완성 · 419
4. 무지(無知)와 무명(無明) · 421
5. 사주분석의 순서 · 423

책을 마치며 ·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