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의례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한국불교의 의례는 어떤 체계로 실행되고 있는가? 한국불교 의례의 차례와 예경의 의미, 그것이 형성되어 온 역사적 과정과 구조를 종합적으로 규명한 책이다.


저자소개

이성운

동국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 불교학부 강사, 대한불교조계종 의례위원회 실무위원, 동아시아불교의례문화연구소 연구실장을 맡고 있으며, 불교의례와 언어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천수경, 의궤로 읽다󰡕, 󰡔삼밀시식행법해설󰡕(공저) 등이 있고, 논문으로 「금강경 ‘우리말화’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한국불교 의례체계 연구」, 「‘현행’천수경의 구조와 의미」, 「현행 수륙재의 몇 가지 문제」, 「현행 한국수륙재에 대한 검토」, 「한국불교 일상의례의 명칭문제」,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등이 있다.


목차

서문∙5

Ⅰ. 서론∙15

Ⅱ. 한국불교의 의례∙29

1. 자료 목록∙31

1) 현대 이전∙32

2) 현대 이후∙37

2. 분류 유형∙42

1) 의미 중심 분류∙43

2) 설행 중심 분류∙49

3. 구조 체계∙54

1) 관음시식∙56

2) 삼보통청∙59

Ⅲ. 시식의례∙65

1. 의미와 구조∙65

1) 시식의 의미와 공덕∙65

2) 시식의례의 기원과 구조∙76

2. 소청의식∙86

1) 창혼∙87

2) 청혼∙95

3. 수계의식∙110

1) 몽산시식 등의 수계 행법∙112

2) 『결수문結手文』의 수계 행법∙113

4. 정화의식∙114

1) ‘전시식奠施食’ 등의 정화∙115

2) 『결수문』의 정화∙116

5. 변식의식∙117

1) 사다라니 행법의 전거∙118

2) 사다라니 행법의 실제∙124

6. 시식의식∙133

1) 무외시∙134

2) 재시∙146

3) 법시∙152

7. 정토수업淨土修業∙156

1) 정토수업의 구조∙158

2) 정토수업의 추이∙164

8. 왕생의식∙174

1) 왕생의식의 구조∙175

2) 왕생의식에 대한 인식∙177

Ⅳ. 공양의례∙187

1. 공양의례의 개요∙187

1) 주요 공양의례의 구조∙189

2) 공양의례의 주요 개념∙193

2. 봉청의식∙210

1) 봉청의식의 추이∙210

2) 봉청의식에 대한 인식∙221

3. 헌좌의식∙232

1) 헌좌게송의 추이∙233

2) 헌좌에 대한 인식∙234

4. 변공의식∙244

1) 변공의식의 추이∙245

2) 변공에 대한 인식∙256

5. 헌공의식∙264

1) 헌공의식의 추이∙264

2) 헌공에 대한 인식∙267

6. 풍경의식∙270

1) 풍경의식의 추이∙270

2) 풍경에 대한 인식∙274

7. 표백의식∙278

1) 표백의식의 추이∙279

2) 표백에 대한 인식∙288

8. 회향의식∙292

1) 회향의식의 추이∙293

2) 회향에 대한 인식∙299

Ⅴ. 여법한 의례봉행을 위한 정근∙303

1. 의례 정비∙305

2. 일상 정진∙309

1) 예경∙311

2) 송주∙340

3. 수행 성취∙369

Ⅵ. 결론∙373

1. 의례구조의 특수성∙374

2. 불교의례의 보편성∙381

참고문헌∙385

<부록> 한국불교 주요의례 원문∙393

마치면서(跋)∙442

찾아보기∙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