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강승환

1950년 경북 상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를 졸업하고 건설회사에서 근무하다 부동산 중개업을 하였다.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소설 󰡔땅따먹기󰡕를 펴내기도 하였다. 이후 원효의 저서와 대승기신론 관련 경전 번역에 매진하는 등 우리 문화 연구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야기 원효사상󰡕을 펴내기도 했다.


목차

머리말 _5

1. 현대과학의 우주 15

우주의 생성: 빅뱅 _15∙은하 _16∙은하수(미리내) _17

우주의 소멸: 대 붕괴 _19∙블랙홀 _21

2. 불교의 우주 22

화엄경의 설명 _22∙4겁: 성주괴공 _23∙4륜 _25∙4겁과 4륜 _26

『구사론』의 4겁 _27∙괴겁 _29∙세계해 _32∙세계해의 모습 _33

화장장엄세계해의 성립 _34∙세계종과 세계 _39∙삼신 _42

3. 관점의 차이 44

육안으로 보기와 심안으로 보기 _44∙시공간의 차이 _46

반복적 순환과 지금의 순환 _47∙순간과 점진 _50∙창세기 _51

4. 우주의 생성 53

①불교의 견해

공 _53∙없는 공과 있는 공 _55∙공과 무 _56

가짜 진공과 진짜 진공 _57∙성주괴공의 공과 수행의 공 _59

12연기 _60∙무명과 진여 _61∙무명의 뜻 _62∙무명의 속성 _64

무명의 분류 _65

②현대과학의 견해

정상우주론 _66∙빅뱅 _67∙인플레이션 이론 _69∙대칭성 붕괴 _70

5. 우주의 모습 72

①연화

연화와 연화장 _72∙화장장엄세계해의 겉모습 _74

3,000억 개 은하의 모습 _78∙삼천대천세계 _81∙수미산 _83

은하의 모습 _86∙우리 은하의 모습 _87

②연화장

중첩우주와 다중우주 _88∙현재에 겹침 _89∙연화장세계와 바퀴 _91

연화장세계와 그물 _92∙인드라망과 범망 _94

6. 우주의 두께 95

①불교의 견해

두께와 단계, 경계 _95∙중첩과 방안의 등불 _98

공즉시색 색즉시공 _99∙비일비이와 제등 _100

전등불 밝기와 상입상즉 _106∙4륜과 상입상즉 _107

일미진중함시방 _108

일중일체다중일 _109

②현대과학의 견해

평행우주와 평평성 문제 _111∙차원다짐과 결맞음 _112

두께의 표현 _113∙휨과 곡률 _114∙초 끈 이론 _116

차원 문제 _119∙막과 단계 _120∙웜홀과 터널효과 _122

모공과 모도 _124∙두께의 역할 _126∙고양이 역설 _127

7. 우주의 물질 129

불교의 마음 중심 _129∙인연과 4가지 기본력 _130

향수와 암흑물질 _131∙중성미자, 힉스입자, 반물질 _132

불교적 견해와 교류 _136∙진공에서 공에 이르기 _137

영원한 짝사랑 _139

8. 우주의 시종 141

①우주의 종말

종교적 견해 _141∙특이점 _142∙블랙홀과 화이트홀 _144

퀘이사와 대 붕괴 _145

②우주의 증감

현대과학의 견해: 팽창 _147∙불교의 견해: 불변 _148

③우주의 끝

우주는 영원한가? _150∙우주의 끝은 있는가? _151

말할 수 없는 것 _154∙만물은 있는가? _155∙원효의 견해 _157

④우주의 방위

방위와 방향 _160∙우주는 그냥 그대로다 _162

⑤시간

시간은 변화를 뜻함 _163∙영원과 찰나 _165

시간의 방향 _166∙시간의 지속 _168

9. 현대 우주론의 한계 171

우주는 정말 둥근가? _171∙현대과학의 한계 _172

현대불교의 한계 _174∙무명과 신 _181∙창조와 진화 _183

인류의 소멸 _185∙선악이 있는가? _187∙생명체 _188

외계 이주 _190∙UFO(미확인 비행 물체) _191∙현신 _192

10. 깨침 195

공과 영생 _195∙무주공산 _196∙공과 천당 _199

공도 헛것 _201∙불교는 사실과학 _203∙인법유무제등 _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