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고려 중기 원묘 요세에 의해 결성된 백련결사는 한국 천태종의 사상적 신앙적 시원을 마련해 주고 있다. 그간 보조 지눌의 수선사 결사 연구에 가려 빛을 보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는 원묘 요세의 백련결사를 연구하고 있는 이 책은 한국불교 연구사에 한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다고 하겠다.

원묘 요세의 사상적 경향은 백련결사에서 볼 수 있듯이 종교성과 민중성을 추구한다. 한 때 지눌의 수선사에 참여하기도 하였지만 예경과 참회, 준제주 지송의 행법을 통해 근기가 수승하지 않은 일반 백성들도 불법을 닦는 법을 일러주고 있다. 일반 민중에게 나무아미타불 염불을 가르쳤던 신라 원효의 사상과 그 맥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요세의 생애, 요세의 천태사상, 요세 사상의 배경, 백련사 행법과 그 연원, 천태종 사자상승과 요세, 요세 연구의 문제점, 원묘 요세의 비명 역주 등 7장으로 이뤄졌다. 책의 구성과 각 항의 제목만 일별해도 이 책의 주장은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려 후기 한국사상사의 한 편을 점유하고 있는 법화 천태사상과 한국불교의 예참의 근원, 준제행법의 변천과정 등을 밝혀내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저자소개

최동순

동국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대한불교천태종 교육부에서 근무했으며, 동국대 강사, 연세대 국학연구원 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이다. 천태사상 및 상월조사에 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목차

|제 1 장| 요세의 생애
1. 요세의 이동경로 개요 _ 12
2. 비명의 구성 _ 16
3. 출생과 성장 _ 20
4. 고봉사 법회 참여에 나타난 요세의 성향 _ 22
5. 지눌과 상무주암 동석에서 교판의 상이점 경험 _ 26
6. 남원 지역 활동과 민중 지향 _ 31
7. 약사난야에서 찾아낸 『묘종초』의 심(心) _ 36
8. 만덕산 보현도량 개설과 그 사상적 완성 _ 42
9. 맺음말 _ 48

|제 2 장| 요세의 천태사상
1. 요세의 천태사상 개요 _ 52
2. 종승(宗乘)매진과 사상형성 과정 _ 57
3. 삼관(三觀)사상의 계승 _ 60
4. 유심정토(唯心淨土) 사상의 적용 _ 64
5. 요세의 법화사상 _ 69
6. 지눌과의 교판적 차별성 견지 _ 76
7. 묘종 사상의 영향 _ 80
8. 묘종의 완결로서 ‘당처현전(當處現前)’ _ 84
9. 요세 이후의 백련사 _ 91

|제 3 장| 요세 사상의 배경
1. 요세에 끼친 지례의 교학 _ 102
2. 요세 정토사상의 연원 _ 110
3. 지례의 담연 사상 계승 _ 117
4. 지례의 생애와 시대적 상황 _ 124
5. 범부의식과 불성론 _ 127
6. 『묘종초』의 감응도교 및 해입상응의 해석 _ 132
7. 『묘종초』의 작불(作佛)과 시불(是佛) _ 141

|제 4 장| 백련사의 행법과 그 연원
1. 개요 _ 150
2. 천태종 행법의 연원 _ 151
3. 천태 대사의 교판에 따른 행법 지향 _ 154
4. 혜사교단의 행도와 지의(智?) _ 158
5. 천태 대사 생애기록에 나타난 예참 _ 161
6. 국청사 전통의 예경법 _ 165
7. 사종삼매 행법 _ 172
8. 요세의 보현도량과 그 연원 _ 177
9. 법화삼매(法華三昧)의 실천 _ 180
10. 좌선절차 _ 184
11. 요세의 준제주송(准提呪誦) _ 187
12. 교판(敎判)에 따른 천태종 행법의 전개 _ 190
13. 맺음말 _ 196

|제 5 장| 천태종 사자상승과 요세
1. 요세 비문의 조승(祖承) 배경 _ 200
2. 관정의 조승론 _ 207
3. 좌계 현랑 비문과 요세 비문의 조승 _ 211
4. 담연과 조승론 _ 214
5. 『석문정통(釋門正統)』과 요세 비문 _ 219
6. 요세 비문과 『천태구조전』 _ 223

|제 6 장| 요세 연구의 문제점
1. 요세의 법랍 오류 문제 _ 228
2. 보현도량에 대한 학술적 근거 _ 229
3. 요세의 사상전환 문제 _ 231
4. ‘서참회(徐懺悔)’에 대한 인식 _ 233
5. 요세의 승선(僧選) 연도 문제 _ 235
6. 120종 견해(見解)에 대한 요세의 인식 _ 237
7. 요세와 지눌의 조우(遭遇) 연도 문제 _ 239
8. 정명 국사 천인(天因)의 출가 연도 문제 _ 241

|제 7 장| 원묘 요세의 비명 역주
1. 요세 비명 해제 _ 244
2. 비명(碑銘) 역주 _ 248

참고 문헌 _ 272
부록 _ 277
찾아보기 _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