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시대 학자 초원 이충익의 노자 해설서 <초원담노>를 김학목이 번역하고 해설한 책이다. 역주자의 노자 원문 번역도 이충익이 노자를 이해하는 관점과 그 의미를 살려서 우리말로 풀어내었다. 즉 이충익이 바라보는 노자이다. 여기에 이충익 사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역주자 김학목의 핵심 논문들을 함께 실었다.

조선의 영·정조, 순조시대를 살았던 이충익이 저술한 <초원담노>는 유학적 통치사상이 정점에 오른 그 시기에 주자학 유일세계관을 돌파하겠다는 이충익의 처절한 사상적 몸부림이다. <초원담노>는 그 존재만으로도 조선 사상사의 일대 혁명적 사건이다.

이충익은 유위(有爲)의 타성에 찌들어버린 유학의 고착적 진리에서 노자의 무위(無爲)사상으로 세상의 법도와 사상지형을 바꿔놓고 싶어 했다. 인(仁)과 의(義)는 물론 그 어떤 것으로도 세상을 교화시키려고 하지 않음으로써 세상을 평화롭게 하겠다는 것이 그가 본 노자의 무위론이다.

그동안 노자의 해석은 중국 위진시대의 왕필이라는 탁월한 천재에게 의존된 바가 절대적이었다. 그런대 김학목에 의하면 이충익의 노자 이해는 왕필보다 더 우수하다고 한다. 본인 스스로도 <초원담노>를 참고한 다음에 노자 원문을 더욱 깊게 이해하게 됐고, 왕필 노자주석의 의미에 대해서도 대부분 선명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 책 말미의 「<초원담노>의 생명사상」에서 김학목은 이충익이 노자를 생명사상으로도 설명된다는 것을 설파한다. <초원담노>의 무위사상은 모든 생명의 자연스러운 발현, 곧 인위적인 제약이 가해지지 않은 생명의 고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 이충익은 노자 <도덕경>을 노자의 시각대로 주석했다.


목차

추서推序 ― 도올 김용옥 9
역주자의 말 13
이충익의 생애와 <초원담노> 15

초원담노 상편上篇 33
초원담노 하편下篇 124
「후서後序」 253

월암月巖 이광려李匡呂의 「노자를 읽음 다섯 가지 교훈讀老子五則」 259
석천石泉 신작申綽의 「노자지략서老子旨略序」 272
<노자지략>이 사라진 이유 278
이광려의 <독노자오칙> 분석 281
「초원담노」의 생명 사상 ― 왕필의 <노자주>와 비교를 중심으로 ― 310

참고문헌 332
찾아보기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