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한 작가의 소설. 농부가 되고자 하는 저자의 아들 <오건>의 집념 어린 노력에 관한 이야기. 어려서부터 농사 짓기를 좋아 하던 주인공이 대학을 농과에 진학 하고 군대를 다녀와서 농사를 지으며 겪는 실패와 좌절을 그렸다.(양장본)


저자소개

오영수
주로 서민들의 소박한 삶을 그린 단편소설을 썼다. 호는 월주(月洲)·난계(蘭溪). 아버지 시영과 어머니 손필옥 사이의 4남 3녀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나 1928년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에 있는 나니와중학[浪速中學]을 수료했다. 잠시 귀국했다가 1937년 다시 건너가 도쿄[東京] 국민예술원에 입학, 이듬해 졸업하고 귀국했다. 이어 만주 등지를 방랑하다 1943년에 돌아와서는 경남여자고등학교·부산중학교 교사로 근무했고, 6·25전쟁 때는 유치환과 동부전선에서 종군했다.

1954년 서울로 올라와 이듬해 조연현과 현대문학 을 창간한 뒤로는 창작에만 몰두했다. 1970년 한국문인협회 소설분과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1979년 간염으로 죽자 언양면 송태리에 있는 선산에 묻혔다. 1948년 백민 에 시 '산골 아가'가 발표된 데 이어, 194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단편 '남이와 엿장수'가 입선되고 이듬해 단편 '머루'가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그뒤 '화산댁'(문예, 1952. 10), '갯마을'(문예, 1953. 12), '개개비'(현대문학, 1959. 8), '은냇골 이야기'(현대문학, 1961. 4), '어린 상록수'(현대문학, 1975. 8), '잃어버린 도원'(창작과비평, 1977. 12) 등 단편만 100여 편 발표했다.

이 작품들은 대부분 서민들의 따뜻한 인간애를 다룬 것으로서 '화산댁'에서는 시골에 살다가 서울로 올라온 어머니의 슬픔을 그렸고, 대표작으로 평가되는 '갯마을'에서는 청상과부의 사랑과 애환을 그렸다. 현실을 바로 보지 않고 환상에 사로잡힌 작가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으나, '내일의 삽화'(사상계, 1958. 9), '안나의 유서'(현대문학, 1963. 4) 등에서 현실을 비판하는 내용을 다루기도 했다. 읽기 쉬운 문체를 썼고 작품 전체에 서정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다.

소설집으로 {머루}(1954), {갯마을}(1956), {메아리}(1960) 외에 오영수 전집 (1968), 오영수 대표작선집 (1974) 등이 있다. 1955년 한국문학가협회상, 1959년 아세아자유문화상, 1977년 대한민국 예술원상과 문화훈장 등을 받았다.


목차

추천의 글 | 이병철
1. 어린 상록수 | 오영수
2. 어린 상록수 그 이후 | 홍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