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론에서는 주역의 체계를, 제1편에서는 의역이론을, 제2편에서는 제가들의 학설을 통해 주역이 한의학 이론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제3편에서는 주역이 한의학 임상 각과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함으로써 역대 의가들이 어떻게 역학이론을 운용하여 질병을 치료했는가를 엿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소개

곽동렬

동의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졸업, 현 성보사 부설 전통의학연구소 수석 연구원
저서 : [實用中風治療學](1997, 성보사, 공편), [문답식 周易과 한의학](1997, 성보사, 편역), [󰡔醫林改錯評譯](1998, 성보사, 공역) 외, [東洋醫學大辭典](2000, 성보사, 공편), [虛詞大辭典](2001, 성보사, 공편), [사서집해사전](2002, 성보사, 공편) 외


목차

서론
제1편 의역총론
제2편 『주역』이 한의학 이론에 끼친 공헌
제1장 장부학설
제2장 경락학설
제3장 음양기혈학설
제4장 병기학설
제5장 진단학설
제6장 치료원칙 학설
제7장 본초학설
제8장 방제학설
제3편 역리(易理)의 임상 계도 작용
제1장 잡병학설
제2장 부인과학설
제3장 소아과학설
제4장 외과학설
제5장 오관과학설
제6장 침구학설
제7장 기공학설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