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도 사본학 개론』은 인도의 사본학을 다룬 책이다. 이도에는 대략 7백만 권에 육박하는 필사본이 존재하는데 개론서는 그 범위가 상당히 광범위하며 직접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짚어주는 책이 될 수는 없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 최소한의 공통되는 사본학 개론의 기본적인 사항만을 다루는 사본학 정보서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있다.


목차

서론

제1장 사본으로의 접근과 선행연구
1. 대표적인 필사본 연구들
2. 필사본의 접근
3. 필사본 이미지의 확보

제2장 필사본의 주요 문자들
1. 브라흐미(Br?hm?) 문자
2. 카로슈티 문자
3. 싯다마뜨리카
4. 리차비(Licchavi) 문자
5. 샤라다(??rad?) 문자
6. 네팔 갈고리(Nepalese Hooked) 문자
7. 벵갈리(Bengali) 문자

제3장 사본 작성의 재료
1. 필사의 매체
2. 필사의 도구
3. 필사본의 훼손과 보존처리

제4장 사본의 형태와 구성
1. 초고(草稿 Pratham?ar?), 필사의 시작
2. 사본의 작성
3. 필사의 분량, 그란타(Grantha)
4. 기술(記述) 형태에 따른 사본의 유형
5. 필사본 기술(記述)상의 오류와 수정
6. 수정(修訂)을 위한 표시들

제5장 비판적 텍스트의 생성
1. (비판)교정본 제작의 판단
2. 자료의 수집
3. 콜레이션(사본대조 Collation)
4. 사본계통도(사본수형도 Stemma Codicum)
5. 교정(Emendation)
6. 본문 텍스트의 제시
7. 비판교정본 작성의 예
8. 대표적인 비판교정본

제6장 특수 사본들
1. 수학 사본의 예
2. 자이나 사본의 예

부록 1: 사본학 관련 용어들
부록 2: 인도의 역법 환산
부록 3: 인도 필사본의 주요 보관처
부록 4: 문자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