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북송 초기의 삼교회통론』. 계숭은 일찍 출가하여 평생을 선승이자 학승으로 산속에서 살았던 반면, 장백단은 젊어서 벼슬길에 뜻을 잃고 평생 벼슬아치의 참모로 사방을 떠돌며 지내면서 속세에서 도를 구하는 삶을 살았다. 이런 두 인물이 하나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으니, 바로 삼교의 회통을 주장한 것이다. 계숭은 선불교이고 장백단은 도교로 서로 달랐지만, 그들은 비슷한 시기에 별도로 진행된 각각의 사상형성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삼교회통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두 사람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대립과 갈등으로 이루어진 삼교교섭사에서 전례 없었던 화합과 회통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 철학이 종교에게

제1장 유교와 불교 그리고 도교
1. 여행, 다양성과 유사성 / 2. 수양과 수행 그리고 수련 / 3. 북송 초기의 계숭과 장백단 /
4. 기존의 연구들

제2장 삼교교섭의 역사와 유형
1. 삼교교섭의 역사적 맥락 / 2. 삼교의 이념적 대립양상 / 3. 삼교교섭의 유형과 특징 /
4. 북송 초기 삼교론의 양상

제3장 계숭의 삼교융회론과 호불사상
1. 생애와 저술
1) 생애 / 2) 저술
2. 삼교회통론
1) 삼교의 본질: 성인의 마음과 자취 / 2) 유교와 불교: 치세와 치심, 황극과 중도
3) 유교의 효와 불교의 대효 / 4) 유교에 대한 이해: 황극과 중용(中道) /
5) 심성론과 본체론: 심성, 리기
3. 호불사상
1) 배불론에 대한 반론: ?비한? / 2) 계숭의 불교: ?광원교?와 ?단경찬? /
3) 선불교의 정통 계보 찾기: ?정종기?

제4장 장백단의 삼교귀일론과 내단사상
1. 생애와 저술
1) 생애 / 2) 저술
2. 삼교귀일론
1) 삼교귀일 / 2) 이도포선: 성명쌍수
3. 내단사상
1) 장백단 내단사상의 연원 / 2) 장백단 내단사상의 전승 / 3) 장백단 내단사상의 체계와 의미
4) 성·기론

제5장 결론
1. 계숭과 장백단의 삼교회통론 비교 / 2. 호불사상과 내단사상의 특징 / 3. 역사적 의의 및 영향

부록: 지리산과 유불도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