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견성의 의미, 겸우 선사의 우리말 반야심경, 겸우 선사의 구도행 , 겸우 선사의 살림, 선사가 말하는 견성의 길, 겸우 선사의 조사선 비판, 있는 것과 없는 것 등 모두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말미에 반야심경 원문과 겸우 선사가 풀이한 한글해설도 부록으로 실었다.

저자소개
전재근
식품학자. 불교 수행자.
황해도 안악군 대행면 한봉리에서 출생하여, 6.25로 부산에서 소년기를 보냈다. 서울대 농대를 졸업하고 석.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미국 아리조나 대학 포스트 닥터로 근무했다. 1968년부터 38년간 서울대 농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이다. 한국산업식품공학회 초대회장, 국제식품공학연맹 초대 한국대표를 역임했다.
식품공정설계, 공장자동화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다수의 저서와 논문이 있다. 최초의 김치냉장고 발명가이다.

목차

들어가는 글

1. 견성의 의미
진정한 무소유 선승|안 가진 자의 용기|『반야심경』을 설하다|보는 놈을 보라

2. 겸우 선사의 우리말 『반야심경』
우리말 『반야심경』|색과 공의 근본 문제|법계란 무엇인가|
마음의 운동법칙|생로병사|겸우 선사의 우리말『반야심경』

3. 겸우 선사의 구도행
겸우 선사는 어떤 분인가|농부의 출가|대밭 속에서 사흘 지낸 현우|죽으면 마음은 어떻게 되나?|
탁발기도, 200일|결제와 해제가 따로 없다|적멸보궁에서의 정근 기도|오대산 서대, 4년 구도|
오! 일념불기처를 보았다|견성했다는 도반|고요적적한 열반의 자리

4. 겸우 선사의 살림
생화장 연습|제주도에서의 보림|미래 고혼은 있는가?|겸우 선사의 활동 무대|이상한 아침 운력|
점심 먹겠다는 생각|떡을 얻어먹는 방법|현실이 진리인가?|불교의 대의|대웅전, 대각전|닭소리, 목탁소리| 50년에 한 살 먹는 선사|나는 사리를 안 낸다

5. 선사가 말하는 견성의 길
“이렇게 하면 견성합니다”

6. 겸우 선사의 조사선 비판
덕산|일원상|운문|조주|화두와 화두 타파|『금강경』사구게에도 틀린 글자가 있어요|
유정무정 개유불성의 참뜻|불수자성수연성의 수 자가 틀렸어요|초발심시변정각을 잘못 알고 있어요|9세 10세 호상즉이 무슨 말인지 아시오?|수처작주 입처개진은 위험한 말이다|청정상, 잘못된 표현입니다|자연보호가 말이 됩니까?|무명을 깨달으면 곧 부처라니|겸우 선사의 게송

7. 있는 것과 없는 것
지식과 지혜|이름과 내용물|뿌리와 가지|이사무애理事無碍|보는 놈|여의고 보는 놈과 법상|
나누어 보지 말라|꽃은 아름답다|인지과학과 수상행식|생각의 그물망|상을 보는 자|불생불멸의 본심

나가는 글
부록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원문 및 한글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