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금강학술총서 시리즈 15권. 원측(圓測, 613-696)이 지은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중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에 수록되어 있는 종성론(種性論) 부분(ZZ21 268a20-274b16)에 대한 교정 및 역주이다.

원측은 동아시아 불교에서 오랫동안 큰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던 전통적인 일승가(一乘家)와 현장의 신역 이후 새롭게 힘을 얻어가고 있었던 인도적인 삼승가(三乘家)의 심각한 갈등을 염려하면서 상당한 지면을 할애하여 두 진영의 주요 주장과 그 근거가 되는 경전 구절을 차근차근 소개하고 해석하면서 양자 간을 회통시키려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은 원측의 눈에 의해 정리된 동아시아 불교 종성론의 대강이라 할 수 있으며 그 점에만 한정하더라도 연구 가치가 충분하다. 종성론이 기존 원측 연구에서 주요 쟁점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 대한 온전한 번역이 존재하지 못했던 것은 종성론 자체의 복잡함과 심오함에다 텍스트 자체의 불안정성이 얽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번 역주에서 필자는 티벳어역과의 대조와 현존 대장경 경문의 검색을 통한 텍스트 교정을 통해 그 불안정성을 제거하는 데 주력했으며, 동시에 그 기초 위에서 사상 내용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려고 노력하였다.


저자소개

장규언

서강대학교 문과대학에서 철학(전공)과 종교학(부전공)을 공부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철학전공에서 석사 및 박사 과정를 마쳤다. 2012년 8월 ‘원측 『해심밀경소』 「무자성상품」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목차

서문
일러두기
해제: 원측(圓測) 종성론(種性論)의 기본 구조와 몇 가지 특징
『해심밀경소』「무자성상품」 종성론 부분 교정(校訂) 및 역주(譯註)
부록 1: 무성유정(無性有情)의 성불에 대한 문답
부록 2: 원측의 화쟁 논리(표)
참고문헌 Bibliography
Appendix 1: Critical Revision of the Section on Gotra-Theory in "Mujaseongsang pum" of Haesimmilgyeong so by Woncheuk
Appendix 2: Discourse on Enlightenment of Sentient Beings without Buddha-Nature
Glossary of Buddhist Canons in Classical Chinese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