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문헌자료를 통해, 불교 의식에서 회심곡류 불교가요를 화청이란 명칭으로 설행하게 된 배경과 학설로 정립되어 전승된 과정을 설명하고, 의식 속에 전하는 전통화청의 명확한 의미를 밝혀 현행 회심곡류 화청과 비교 정리함으로써 독자가 쉽게 이해하도록 구성했다.

저자소개
노명열
 
철학박사(음악학전공)
불찬범음연구소 소장
전승원의례연구소 소장
중앙대학교 대학원 강사
대한불교조계종 한글의례운곡실행팀 실무위원

목차

국문초록
영문초록

Ⅰ. 서론

Ⅱ. 현행 불교 의식의 화청
1. 기존 성과물에서 전하는 화청의 정의와 내용
2.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제65호 화청』바로보기
3. 새롭게 정립하는 화청의 정의와 내용
(1) 수륙재의 화청
(2) 운수단, 대례왕공문의 화청
(3) 예수재의 화청
(4) 화청의 정의와 범주
4. 전통적인 화청과 회심곡류 화청의 비교
(1) 전통적인 화청
(2) 현행 회심곡류 화청
5. 전통화청의 복원과 시연

Ⅲ.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