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불교의식음악의 연원 및 종류, 역사, 범패의 구성과 작법절차, 그 특징과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영산재를 비롯, 한국의 전통 불교의식음반 전반의 과거, 현재, 미래 즉 그 보존 및 전승에 대한 연구를 담았다.


저자소개

법현

1974년 봉원사 대운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다.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이수자이다. 원광대학교 불교학과 철학박사이다. 대한민국 문화재 전문위원이다. 동국대학교 한국음악과 교수로 불교무용 및 불교 음악강의를 하였다. 세계문화예술 컨텐츠교류연맹 이사장이다.


목차

서문

1. 불교의식음악의 연원
1. 한국의 불교전래와 의식
2. 불교 경전각필악보와 일본불교
3. 경전에 보이는 악,가,무
4.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누의 염불요문의 의식 규범

2. 불교의식음악의 종류와 범패 구성
1. 제종 의식의 구성
2. 각배재, 상주권공재, 영산재, 수륙재, 생전예수재 범패와 작법무

3.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구조
1. 동음집
2. 재의식 진행시 각종 소에 대한 해제
3.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종류와 유형

4.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악곡 분석과 자료 현황
1. 시련의식 구성과 악보
2. 대령 의식 구성과 악보
3. 관련 의식 구성과 악보
4. 경제, 영제 범패 음반자료 현황

5. 불교의식음악 범패의 특징 및 예능과 창도
1. 불교의식 문화재 지정 현황과 예능 계보
2.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재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의 예능과 창도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