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만다라(曼茶羅)는 밀교(密敎)가 창출해 낸 성역 공간을 도상화한 것을 말한다. 이 만다라가 지니는 의미는 매우 심오한 것인데 일반적으로는 공간적, 회화적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만다라란 무엇인가, 만다라의 역사와 종류, 각 교리에 의한 만다라를 구분하고 그에 해당하는 도상을 소개하면서 각각의 특징과 의의를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저자소개

홍윤식
일본 교토(京都) 불교대학 대학원, 동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 국사교육과 교수, 동국대학교 박물관 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문화부문화재위원,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있다.

저서로 「한국불교의례의 연구」(일문)「고려불화의 연구」「한국의 불교미술」「불화」「영산재」 등 다수.


목차

1. 만다라의 뜻
성역 공간으로서의 만다라
밀교와 만다라
만다라의 특징
2. 만다라의 종류
3. 넓은 의미의 분류
4. 형태적 분류
5. 내용적 분류
6. 만다라의 구조와 표현 방법
만다라의 구조
만다라의 표현 방법
7. 양계 만다라의 구조와 사상
태장계 만다라의 구조와 사상
금강계 만다라의 구조와 사상
8. 별존 만다라와 현교적 만다라
별존 만다라
현교적 만다라
9. 우리나라 만다라의 사상과 전개
오대산 신앙의 만다라적 성격
신라 화엄 만다라의 조직과 의미
신라 사회와 만다라
10. 만다라의 현대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