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계종법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종단의 미래를 구축하다!

조계종단의 법 규범을 확립하여 승가질서를 확립하도록 도와주는 『조계종법의 이해』. 계율 관련 전문교육기관인 승가대학원에서 율학승가대학원에서 교재로서의 활용 가치를 갖는 책이다. 조계종법의 정의, 종헌의 이해, 중앙종무기관, 재정과 회계에 이르는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종법 전문가라는 책임의식과 종단의 구성원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사찰과 교단 운영, 외부 사회와의 교류를 의미있게 구현해나가는 실천적 자세를 함양하도록 이끌어준다.


저자소개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불학연구소

원묵스님 집필
성균관 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1994년부터 2000년까지 개혁회의 기획조정실과 총무원 기획실에서 근무하였으며, 이후 발심 출가하였다. 현재 실상사 화엄승가대학원에서 유식을 강의하며 학감 소임을 보고 있다.


목차

편찬의 글

1장 | 조계종법이란 무엇인가
1 종단과 법
2 법에 관한 극단적 견해
3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4 조계종법의 체계
1) 종헌 | 2) 종법 | 3) 종령 | 4) 규칙
5 조계종법 규범의 내용별 종류
6 조계종법과 계율
7 조계종법의 해석
1) 유권해석 | 2) 학리해석

2장 | 종헌의 이해
1 종헌의 개념
2 종헌의 특성
3 종헌의 구조
4 종헌 전문을 통해 보는 종헌 정신
1) 통불교정신 | 2) 대승불교정신 | 3) 선불교 정신 | 4) 파사현정의 정신
5 종헌을 통해 보는 종단의 총체적 이해
1) 종지 | 2) 소의경전 | 3) 본존불 | 4) 종조와 중흥조 | 5) 사부대중
6) 승려 | 7) 미등록 사설사암과 법인의 권리자에 대한 제한 | 8) 신도
9) 의식 | 10) 계단 | 11) 종무원

3장 | 중앙종무기관(中央宗務機關)
1 종정(宗正)
2 원로회의
3 중앙종회
1) 의회주의 | 2) 입법권 | 3) 중앙종회의 구성과 조직 |
4) 중앙종회의 운영과 의사 절차 | 5) 중앙종회의 권한 |
6) 중앙종회 의원의 지위와 특권
4 총무원
1) 총무원장 | 2) 종무회의 | 3) 총무원 각 부서
5 교육원
1) 교육원장 | 2) 교육부의 업무 | 3) 불학연구소의 업무 | 4) 종단의 교육 체계
6 포교원
1) 포교원장 | 2) 포교부 | 3) 포교연구실
7 호계원
1) 호계원의 지위 | 2) 사법의 독립성 | 3) 징계 심판의 원리 |
4) 행정 심판의 원리 | 5) 심판 절차의 기본 원칙 | 6) 심판 절차
8 법규위원회
1) 위헌 종법 및 위법 종령 심판 | 2) 권한 쟁의 심판

4장 | 재정과 회계
1 재정의 원칙
2 예산
1) 예산의 원칙 | 2) 예산 편성 절차 | 3) 분담금
3 회계
1) 회계의 구분 | 2) 수입 지출의 관리
4 결산
1) 중앙종정기관의 결산 절차 | 2) 지방종정기관의 결산 절차 | 3) 결산서의 내용

* 부록 : 대한불교조계종 종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