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세 지식인들이 꿈꾸었던 초월을 향항 상상, 그 꿈의 흔적들을 한시를 통해 들여다본 책. 한시와 도교의 전반적 연관, 유선문학에 대한 논의에 대해 체계적으로 다뤘다. 아울러 비기의 문화사적 의미와, 민간 신앙 속에 뿌리내린 도교 신앙의 근저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서술했다.


저자소개

정민
저자 정민鄭珉은 충북 영동 출생. 한양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모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식이 넘쳐나는 세상일수록 간명한 통찰이 필요하다. 네 글자밖에 안 되는 언어로 내면의 웅숭깊은 성찰, 현실에 대한 통렬한 비판을 전한다. 그동안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꼼꼼히 읽어 『비슷한 것은 가짜다』와 『고전 문장론과 연암 박지원』을 펴냈다. 18세기 지식인에 관한 연구로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과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미쳐야 미친다』 『다산의 재발견』『삶을 바꾼 만남』 등이 있다. 청언소품淸言小品에 관심을 가져 『마음을 비우는 지혜』 『내가 사랑하는 삶』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돌 위에 새긴 생각』, 『다산어록청상』 『성대중 처세어록』 『죽비소리』 등을 펴냈다. 이 밖에 옛 글 속 선인들의 내면을 그린 『책 읽는 소리』 『스승의 옥편』 등의 수필집과 한시 속 신선 세계의 환상을 분석한 『초월의 상상』, 문학과 회화 속에 표상된 새의 의미를 찾아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 조선 후기 차 문화의 모든 것을 담아서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등을 썼다.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한시 미학 산책』과 어린이를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외에, 사계절에 담긴 한시의 시정을 정리한 『꽃들의 웃음판』을 펴냈다.


목차

1부 한시 속의 도교적 상상
1장 한국 한시와 도교 ...27
2장 한시 속의 유토피아 ...71

2부 유선 문학, 닫힌 세계 속의 열린 꿈
3장 역재 유선시의 자료 개관고 그 의미 ...119
4장 유선시의 서사 틀과 낭만적 상상력 ...175
5장 유선사부의 서사 구조와 의미 구조 ...221

3부 도교 문화의 심층과 기층
6장 비기의 문화사, 허균의 동국명산동천주해기 ...267
7장 삼시설과 수경신 신앙 ...317